"2035년까지 AI가 영국 저숙련 일자리 300만 개 대체"…英 교육연구재단 보고서
AI(인공지능) 기술로 300만 개의 영국 내 저숙련 일자리가 대체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경영 컨설턴트 등과 같이 전문성이 높은 기술 직종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존 연구들과 대조적이다.
영국 국립교육연구재단(NFER)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자리 중 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큰 일자리에는 무역, 기계 조작, 행정 업무와 같은 직종이 포함됐다. AI와 기술 발전으로 적어도 당분간, 업무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숙련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영국 국립교육연구재단은 보고서를 통해 영국 경제가 2035년까지 23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동시에 AI로 인해 2035년까지 영국 내 300만 개의 저숙련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NFER은 대부분의 중·저숙련 일자리가 점점 더 빠른 속도로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AI가 고숙련 일자리·전문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존 연구들과 크게 상이한 결과를 내놓았다. 영국 정부는 경영 컨설턴트, 심리학자, 법률 전문가를 'AI에 가장 많이 노출된' 직업군으로 분류한 반면 '스포츠 선수', '지붕공', '벽돌공'의 경우 대체 가능성이 낮다고 밝힌 바 있다.
영국 국립교육연구재단의 영국 정책 및 실무 공동 책임자인 주드 힐러리는 "우리는 유아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학교 내 불평등을 해소하고, 성장하는 일자리로의 진입 경로를 강화하고, 모든 사람에게 이로운 성장을 이루기 위해 성인 기술 시스템을 재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선 고학력·고소득 일자리일수록 AI에 많이 노출돼 있다는 분석이 주로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발표한 BOK 이슈노트 ‘AI와 노동시장 변화’에 따르면 국내 일자리 중 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큰 일자리는 약 341만개로 나타났다.
AI 노출 지수가 가장 높은 일자리에는 화학공학 기술자, 발전장치 조작원, 금속재료 공학 기술자 등이 포함됐다. 반면 대면 접촉이나 관계 형성이 필수적인 단순 서비스 종사자 등은 AI 노출 지수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직업 세부 분류로 살펴보면 일반 의사, 전문 의사, 회계사, 자산운용가, 변호사 등이 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최근 현장 기술직이 Z세대(199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출생자) 사이에서 유망한 일자리로 인식되고 있다. 지난 3월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Z세대 구직자 1603명을 대상으로 ‘연봉 7000만원 교대근무 블루칼라’ vs ‘연봉 3000만원 야근 없는 화이트칼라’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블루칼라'를 선택한 비중이 58%로 과반을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