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칼럼] 'AI 도시' 이끄는 강기정 광주시장의 소통법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024년 민선 8기 반환점을 돈다. 지난 1년 반을 떠올려 봤다. 그는 군공항 이전, 복합쇼핑몰 유치 등 지역 현안 사업을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그럼에도 당장 머릿 속에 떠오르는 건 '소통과 불통'이라는 키워드이다. 1년 반 동안 '불통'이라는 키워드가 꼬리표처럼 따라붙었다. 그간 월요대화, 화요오찬, 수요 정책소풍 등 다양한 소통 활동을 꾸준히 이어왔음에도 말이다. 참 아이러니하다.
광주에 소재한 인공지능(AI) 기업들은 대부분 본사를 이전했거나 지역 사무소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구성원들의 절반 가량은 외지인이다. 광주에 연고가 없는 이들이 평가하는 강기정 시장의 소통법은 어떨까. 그들의 눈에도 강기정 시장은 과연 '불통 시장'일까. 이달 초 만난 한 인공지능 스타트업 대표에게 물었다. "강기정 시장이나 광주광역시청 직원들과 소통은 잘 되나요?"라는 질문을 던졌다.
"AI 기업에게 필요한 환경을 적절히 지원하고 있다. 다른 지자체에서 느껴보지 못했던 관심도 받고 있다. 정책이 마음에 든다" 대화를 자주 하는지에 대한 의도로 물었는데, 돌아온 답변은 '정책 평가'였다. 듣고 보니 우문현답(愚問賢答)이다. 단순히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소통은 아니다. 더 만나고 안 만나고를 놓고 소통이 잘 됐다, 못 됐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AI 기업 대표는 "필요한 정책을 잘 수립·추진하고, 그 효과를 시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다면 그게 소통의 본질 아니겠나"라고 했다. 그렇다. 혁신을 강조했던 그의 시정 운영 기조가 새삼 느껴진다. 지자체에서 참신한 정책을 성실히 추진하고, 이를 시민들이 체감한다면 '소통이 잘 되고 있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적어도 AI 분야 만큼은 말이다.
광주 AI 기업들이 가장 후한 점수를 주는 정책은 단연 '실증 관련 정책'이다. 상용화와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창업기업에게 광주 도심을 실증공간으로 내어주고, 실증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광주에 둥지를 튼 기업들의 최대 숙원이었다. 실제 타 지역에 소재한 기업들의 경우 경쟁력 있는 기술을 개발하더라도, 규제에 가로막혀 테스트조차 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광주 소재 AI 행동분석 솔루션 개발기업 세이프모션도 이 사업의 혜택을 톡톡히 보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함께 기술을 개발한 세이프모션은 광주광역시 사회재난과와 LG유플러스의 도움을 받아 광주 도심에서 기술을 실증하고 있다. 이로써 광주에 설치된 9500여 개 CCTV들이 그저 영상만 송출하는 CCTV가 아닌 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파수꾼 역할을 하게 됐다. 실증에 그치지 않고, 행정에 반드시 반영했으면 하는 기술이다.
이처럼 기업들의 숙원이 해소되고 있고, 시민들도 정책의 효용성을 체감할 수 있게 된 점은 매우 의미가 깊다. 말이 아닌 정책으로 변화를 보여줄 때 시민들은 열렬한 지지를 보낸다. 혁신과 정책이야말로 강 시장이 임기 동안 흔들림 없이 유지한 확신의 피력이다. 기업들과 시민들이 환호할 '기술과 AI가 찬란한 경제 창업도시' 만들기에 강 시장이 더욱 매진해주길 바란다. 해야 할 일, 잘하는 일을 하다보면 '불통'이라는 키워드도 쏙 들어갈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