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AI 기술 대화방 해킹 당한 오픈AI, 정보 털리고도 '쉬쉬'"…안전 문제 또 도마위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안전과 관련된 문제로 또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내부 대화방을 해킹당했음에도 이 사실을 법 집행 기관 등에 제대로 알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해 초 오픈AI 직원들이 AI 최신 기술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내부 대화방에 해커가 침입해 정보를 빼갔다고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커는 세부 정보를 빼낸 것으로 알려졌지만, GPT를 구축하고 훈련하는 시스템에는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 경영진은 해당 사실을 인지하고도 외부에 알리지 않았고, 지난해 4월 경영진이 참석하는 내부 전체 회의에서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 중앙정보국(CIA) 등 법 집행 기관에도 신고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오픈AI 측은 해커가 외국 정부와 관련이 없는 개인이고,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관에 알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일부 직원들은 오픈AI의 보안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레오폴드 아셴브레너 전 오픈AI 안전팀 연구원은 “회사가 중국 정부를 비롯한 외국 해킹 조직이 자사의 기밀을 훔치는 것을 막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라고 이사회에 주장하기도 했다.
NYT는 "AI 기술이 고도로 발전하면서 AI 기술 유출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중국 관련 조직들이 해킹에 나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중국 해커 조직은 마이크로소프트(MS)의 클라우드 보안을 뚫고 미국 정부 기관을 포함한 약 25개 기관의 이메일 계정에 접근한 것이 알려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