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AI 연구 성과 세계 1위 '알파벳' 2위 'MS'…삼성전자, 韓 유일 100위권 포함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이 세계 주요 기업 가운데 우수한 인공지능(AI)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00위권 순위에 포함된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미국 조지타운대 '안보 및 유망기술 센터(CSET)'는 최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세계 민간 기업들의 AI 연구 실적을 정리한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이 1위를 차지했다. 알파벳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최근 10년 동안 3374건의 피인용 우수 논문을 발표했다.
마이크로소프트(2762건), 페이스북 운영사 메타(1120건), IBM(963건)이 그 뒤를 이었다. 삼성전자는 293건으로 14위에 이름을 올렸다. 100위권 순위에 포함된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미국 기업이 61곳으로 과반이었고, 중국은 텐센트(5위·948건)와 알리바바(6위·731건) 등 21곳이 포함됐다. 일본은 도요타(13위·313건)와 미쓰비시상사(20위·110건) 등 7곳이 100위권에 들었다. 삼성전자는 최상위 AI 학술대회에 채택된 논문 수를 집계한 순위에서는 525건으로 세계 11위를 차지했다.
AI 논문은 연구 전산 설비 등의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대학보다는 거대 자본을 동원할 수 있는 기업이 주도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AI 업계에서는 이런 논문 실적이 기업의 AI 연구개발(R&D) 역량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통한다.
특히 AI 분야는 기술 개발, 연구 발표 속도가 빠른 특성 때문에 논문이 주요 학술대회에 채택됐는지 여부를 피인용도만큼이나 중요한 지표로 평가받는다. 최상위 학술대회 논문을 가장 많이 낸 곳은 마이크로소프트(4305건)였고, 알파벳(4194건)과 중국 텐센트(1880건)가 그 다음이었다.
최근 10년 사이 등록한 AI 관련 특허 수는 삼성전자가 6032건으로, 세계 4위에 이름을 올렸다. AI 특허 분야에서만큼은 화웨이(4220건), 알파벳(3859건), 마이크로소프트(3728건), 독일 지멘스(2603건) 등 기업을 앞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