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영 과실연 AI 미래포럼 공동의장이 전하는 'AI 시대 인재가 되는 비결'
오순영 과실연 AI 미래포럼 공동의장은 26일 "AI 시대에는 스스로 학습 역량을 높이며 성장하는 것이 경쟁력"이라며 "AI 도구는 무조건 적극적으로 써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과실연 AI 미래포럼이 이날 '가을에 만나는 AI 북 옴니버스'를 주제로 개최한 AI 토크콘서트에서 오순영 과실연 AI 미래포럼 공동의장은 이같이 밝혔다.
오순영 과실연 AI 미래포럼 공동의장은 토크 콘서트 연사로 나서 'AI 시대의 생존 전략, AI를 해석하는 힘에 답이 있다'를 주제로 강연했다. 먼저 오순영 과실연 AI 미래포럼 공동의장은 AI 대전환 시대의 주요 AI 키워드로 ▲멀티모달 AI ▲환각 ▲온디바이스 AI ▲AI 에이전트 ▲오픈소스 AI 생태계 ▲지속가능성과 AI 반도체 ▲안전성과 책임(AI 거버넌스) ▲소버린 AI 등을 꼽았다.
이어 오순영 공동의장은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는 데 있어, AI 에이전트를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순영 공동의장은 "멀티모달 AI는 사람처럼 텍스트, 오디오, 영상을 받아들이고 사람들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보여줄 수 있다"라며 "사람과 유사한 서비스 경험 제공이 가능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밝혔다.
오순영 공동의장은 "과거에는 학습을 기반으로 작동했다면, 이제는 AI가 스스로 발전을 하는 단계이다. 사람이 업무를 수행하는 것과 유사하다. 전문적인 에이전트가 탄생할 것"이라며 "멀티 에이전트를 현실 세계에 반영하는 단계에서 시행착오가 있겠지만, 결국 그 방향으로 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오 공동의장은 생성형 AI가 개발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견해도 내놓았다. 오순영 공동의장은 "개발 언어는 심플하다. 언어 자체만 잘 하는 것은 앞으로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다. 결국 풀스택 개발자가 돼야 한다"라며 "맥락에 대한 이해도, 전문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더욱 중요해졌다"라고 주장했다.
오 공동의장은 "AI가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AI 시대가 원하는 인재가 되려면 AI 도구는 무조건 적극적으로 써봐야 한다.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문제에 다양한 해결 방법을 탐색할 수 있어야 한다. 협력과 소통 능력도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오순영 공동의장은 2004년 한컴에 입사해 2019년 한컴에서 첫 여성 CTO를 지냈다. AI·IT 업계에선 독보적인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이후 KB국민은행 금융 AI센터장을 역임했다. 정부와 지자체 AI 및 신기술 관련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며, 청년 멘토링에도 힘을 쏟고 있다.
한편 지난 4월 창립된 과실연 AI미래포럼은 국내 주요 인공지능(AI)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국민의 AI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날 열린 AI 토크콘서트는 배순민 과실연 AI 미래포럼 공동의장이 사회를 맡았고,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 하정우 네이버 퓨처AI 센터장, 오순영 과실연 AI 미래포럼 공동의장이 패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