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2024년 트렌드 전망 발표…”K-콘텐츠 글로벌 파워 활용 ‘브랜드, 크리에이터, 아티스트’ 글로벌 진출 가속화”

내년 틱톡 K-콘텐츠 글로벌 확산 활용,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 창출 가속화 전망 2023년 틱톡 글로벌 뮤직 트렌드 발표…K-Pop 아티스트의 글로벌 파워 입증

2023-12-07     유진 기자
틱톡코리아가 12월 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2024 트렌드 기자간담회 Whats Next를 진행했다. (사진=틱톡)

글로벌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7일 '2024 트렌드 기자간담회: What's Next'를 통해, 문화적 변화를 일으킨 틱톡의 2023년 3대 트렌드로 ▲다양한 사용자층 확대 ▲엔데믹 효과로 자기계발과 여행 콘텐츠 증가 ▲K-콘텐츠의 글로벌 강세를 발표했다. 또한 2024년도에는 브랜드, 크리에이터, 아티스트들이 틱톡의 K-콘텐츠 글로벌 파워를 활용해 적극적인 글로벌 진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 3대 트렌드는? 

첫 번째로 눈에 띄는 트렌드는 대세로 자리잡은 숏폼 사용자층의 확대가 틱톡 2023년 해시태그 데이터에서 입증됐다는 사실이다. 오픈서베이 리포트에 따르면 30대(73.9%), 40대(65.8%)의 숏폼을 접한 경험도 절반을 넘어, 다양한 연령대에서 숏폼을 친근하게 느끼는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다. 

틱톡의 What's Next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30대(조회수 400%, 생성수 193%), #직장인(294%, 49%), #취준생(376%,206%), #부부생활(8,116%, 6,714%), #워킹맘(1,621%, 914%) 등 30대 이상 다양한 사용자층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해시태그와 부부-육아 등 가족이야기의 해시태그의 조회수가 전년 대비 급증했다. 

(사진=틱톡)

2023년 30대 이상의 사용자들이 틱톡에 다수 유입되면서, 틱톡은 MZ세대의 플랫폼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령대가 관심사에 기반한 해시태그 중심의 콘텐츠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커뮤니티를 만들고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두 번째로, 2023년 엔데믹 효과로 억눌렸던 자기계발과 여행 욕구의 폭발로 관련 콘텐츠가 급증했다. #자기계발(조회수 760%, 생성수 480%), #동기부여(587%, 443%), #뉴스(166%, 55%) 등의 콘텐츠가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여행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2022년 추가된 '장소 태그' 기능을 활용해 여행 정보를 나누는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늘어, #핫플추천(조회수 148,407%, 6,738%), #맛집추천(10,534%, 1,503%)도 눈에 띄는 증가폭을 보였다. 

세 번째, ‘K-콘텐츠’의 글로벌 강세가 두드러졌다. 틱톡이 해외 사용자들과 소통하기 편리한 플랫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국내 크리에이터 및 사용자들까지 'K' 영문 해시태그를 적극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추세는 점점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K-관련 해시태그 중 두드러진 산업군은 뷰티와 식음료로 #koreanskincare, #koreanmakeup과 #mukbang, #koreanspicy 등 관련 해시태그가 많았다. 

손현호 틱톡코리아 글로벌 비즈니스 솔루션 제너럴 매니저(GM)가 12월 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4 트렌드 기자간담회 Whats Next에서 2023년 트렌드를 분석하고 있다. (사진=틱톡)

손현호 틱톡코리아 글로벌 비즈니스 솔루션 제너럴매니저(GM)는 “틱톡을 통한 K-콘텐츠 글로벌 확산 사례가 뚜렷하게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2024년에는 뷰티, 식음료 등의 업계를 필두로 다양한 브랜드들이 틱톡을 미국, 동남아 등 해외진출을 위한 플랫폼으로 적극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글로벌 트렌드를 생산하는 K-크리에이터도 더 많이 성장하면서 수익화 모델을 통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동남아, K-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허브 역할로 주목 

틱톡은 기자간담회에서 2024년 K-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 동남아 시장의 역할을 강조했다. 동남아 시장은 K-콘텐츠의 영향력이 크고 두터운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어 K-콘텐츠 생산 측면에서 특히 중요한 곳이다. 프리뷰 뿐 아니라 리뷰 영상 제작, 배우나 배역의 정보 공유 등 다양한 방식으로 K-콘텐츠가 재생산되고, 음악, 음식, 패션 등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전반에서 K-콘텐츠 생산과 소비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유경철 틱톡 동북아시아 아티스트 서비시스, 아티스트 & 레이블 파트너십 총괄이 12월 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4 트렌드 기자간담회 Whats Next에서 2023년 틱톡에서 사랑받은 음악과 아티스트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틱톡)
앙가 아누그라 푸트라 틱톡 동남아시아 운영 제너럴매니저(GM)가 12월 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4 트렌드 기자간담회 Whats Next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의 K-콘텐츠 파워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틱톡)

K-의학 드라마 팬으로 의대생이 된 알렉스(인도네시아), 아이돌 안무를 재해석하는 아이다(인도네시아), 한국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누라(말레이시아) 등 K-콘텐츠를 성공적으로 전파하는 인기 크리에이터 사례도 소개됐다. 

앙가 아누그라 푸트라(Angga Anugrah Putra) 틱톡 동남아시아 운영 제너럴매니저(GM)는 "K-콘텐츠의 글로벌 트렌드 성공사례를 보면 동남아 크리에이터의 2차 창작물 콘텐츠가 시발점이 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패스를 볼 때, 2024년 동남아시장은 K-콘텐츠의 글로벌 트렌드를 만드는 전초기지이자 허브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2023년 글로벌 톱10 음원·아티스트 발표…K-Pop 휩쓸어 

이와 함께 틱톡은 2023년 틱톡 글로벌과 한국에서 가장 주목받은 음원 및 아티스트 톱10을 공개했다. 틱톡의 글로벌 인기 음악 1위는 피프티 피프티의 '큐피드' 였고, 글로벌 인기 아티스트 톱 10 중 5팀(블랙핑크, 방탄소년단, 엔하이픈, 르세라핌, 뉴진스)의 케이팝 아이돌이 글로벌 차트를 휩쓸어 내년에도 K-Pop의 강세 트렌드는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틱톡은 엔터테인먼트 데이터 관리업체 '루미네이트(Luminate)'와 공동 조사한 '뮤직 임팩트 리포트'도 공개했다. 틱톡 사용자가 새로운 음악 콘텐츠를 발견하고 공유할 가능성이 타 플랫폼 대비 월등히 높고,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유료 이용률이 62%로 평균 소비자들의 이용률(43%)을 상회했다. 이는 틱톡 사용자들이 고관여 음악 소비자이며, 틱톡이 음악 산업에 큰 영향력을 끼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음악 산업에 기여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