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미얀마 강진 피해 지역 분석했더니…"시내 건물 515채, 80% 이상 파괴"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발생한 강진으로 500채가 넘는 건물이 80% 이상 파괴됐다는 인공지능(AI) 분석이 나왔다.
1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인공지능과 장거리 카메라 등을 활용해 미얀마 만달레이 위성사진을 분석해 피해 지역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AI로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만달레이 시내 건물 515채가 80~100% 파괴됐으며 1524채는 20~80%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만달레이의 광범위한 재난 상황을 보여주는 동시에 구체적인 피해 지역을 파악하는 데 이 분석이 도움이 된다고 MS는 설명했다.
이와 관련 MS 수석 데이터과학자 후안 라비스타 페레스(Juan Lavista Ferres)는 "화재는 상대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향으로 확산한다. 반면 지진의 경우 도시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즉각 도움이 필요한 곳을 찾기 더 어렵다"라고 했다.
MS는 AI 분석 결과가 현장 구조대에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23년 리비아 대홍수와 올해 초 미국 로스앤젤레스 산불 피해 때도 AI가 활용된 바 있다.
한편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미얀마 내 사망자 수가 3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규모 7.7 강진으로 미얀마 사망자가 2719명까지 늘었다고 중국 CCTV가 보도했다고 전했다.
앞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 명 이상일 확률이 71%로 추산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