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 없이 공공 도로 운행…美 스타트업, 텍사스서 무인 트럭 상용화

2025-05-02     유진 기자
공공 도로를 달리는 오로라의 무인 트럭. (사진=오로라)

미국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오로라 이노베이션(Aurora Innovation, 이하 오로라)이 텍사스에서 상업용 자율주행 무인 트럭을 상용화한다. 이로써 오로라는 공공 도로에서 대형 트럭으로 상업용 자율주행 서비스를 운영하는 최초의 기업이 됐다. 

오로라는 1일(현지시간) 텍사스에서 상업용 자율주행 트럭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시작했다고 밝혔다. 오로라는 이번 주 댈러스와 휴스턴 간 정기적인 무인 고객 배송을 시작하며, 현재까지 오로라 드라이버(Aurora Driver)는 운전자 없이 1,200마일(약 1,900km) 이상을 운행했다고 설명했다. 

오로라는 2025년 말까지 텍사스주 엘패소와 애리조나주 피닉스로 무인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오로라의 CEO이자 공동 창립자인 크리스 엄슨은 "자율주행 기술의 이점을 안전하고, 빠르고, 광범위하게 제공하기 위해 오로라를 설립했다"라며 "공공 도로에서 상업용 무인 트럭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안전하게 운영한 최초의 회사가 됐다"라고 밝혔다. 

(사진=오로라)
무인 트럭 뒷좌석에 탑승한 크리스 엄슨 오로라 CEO. (사진=오로라) 

오로라의 주력 제품인 오로라 드라이버(Aurora Driver )는 장거리 트럭 운송에 최초로 도입되는 'SAE L4' 자율주행 시스템이다. 트럭 운송은 미국에서 수조 달러 규모의 산업이지만, 운전자 고령화와 높은 이직률, 치솟는 운영비 등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매년 심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 4년 전 오로라와 합병한 우버 프레이트의 창업자 리오르 론은 "운전자 없이 자율적으로 상업용 화물을 운송하는 것은 더욱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우리의 사명에 있어 역사적인 진전이며, 오로라와 함께 이를 선도하게 돼 자랑스럽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미국 주에서 자율주행차 운행을 허용하고 있다. 그렉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오로라의 무인 트럭 상용화에 대해 "텍사스는 기술과 혁신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최초의 자율주행 트럭 출시를 맞이하면서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