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컬 AI 시대 선점"…정부·기업,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본격 추진

IoT·가전, 기계·로봇 등 분야 맞춤형 AI 반도체 풀스택 개발·실증

2025-05-20     유형동 수석기자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사진=1X 테크놀로지스)

정부가 자동차, 사물인터넷(IoT)·가전, 기계·로봇, 방산 등 4대 분야 반도체 수요·공급 기업들과 함께 'K-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국내 AI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과 업종별 반도체 수요기업들이 참여한 가운데 'AI 반도체 협업포럼'을 열었다. 

안덕근 장관은 포럼에 참석하여 팹리스와 수요기업들간 기술 교류 및 비즈니스 협력을 독려했다. 이날 팹리스들은 개발 중인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데모 시연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을 홍보했고 수요기업들은 산업부와 '프로젝트 협력 MOU' 체결을 통해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를 국내 반도체 기업들과 함께 개발한다는 의지를 다졌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는 디바이스에 탑재돼 클라우드와 서버 연결 없이도 자체적으로 AI 추론 연산이 자체 가능하고 ▲실시간 연산 ▲데이터 보안 ▲낮은 네트워크 의존성 ▲높은 에너지 효율(저전력) 등이 강점이다.

지난 6개월간 산업부는 산업 파급효과와 기술 경쟁력 등을 고려해 동 프로젝트에서 우선 지원할 4대 업종을 선정했다. 자동차, IoT·가전, 기계·로봇, 방산 분야를 선정해 193건의 기획 수요를 접수 받았고, 산·학·연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4대 업종 6개 세부 개발과제(안)을 기획했다. 

현재 1조원 규모로 대형 프로젝트 기획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으며, 산업부는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신청 등 관련 절차를 신속하게 밟아, 빠르면 내년부터 정부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예산당국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프로젝트는 우리 AI 반도체 산업 발전을 견인하고, 제조 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공급망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팹리스와 SW 기업의 경우 대규모 수요가 창출되고,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맞춤형 반도체 설계 역량을 제고하고, 레퍼런스 확보를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생겨날 것으로 기대된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PC 시대의 인텔, 모바일 시대의 애플, 생성형 AI 시대의 엔비디아에 이어 피지컬 AI 시대로 전환되는 변곡점에서 시장은 새로운 주인을 찾고 있음”을 언급하며, “정부는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을 신속히 추진해 ‘피지컬 AI 시대’를 이끌 주인공들이 우리나라에서 탄생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