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위→10위→12위→9위→8위'…서울, 창업하기 좋은 도시로 우뚝
서울시가 전 세계에서 '창업하기 좋은 도시' 8위에 올랐다.
시는 글로벌 창업생태계 평가기관인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이 12일(파리 현지시간) 발표한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 2025(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 2025)'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고 밝혔다.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 2025는 세계 100개국 300개 도시의 2022년 7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2년 6개월간의 실적을 바탕으로 순위를 매겼다. 기관은 ▲지식축적 ▲자금조달 ▲생태계 활동성 ▲시장진출 ▲창의 경험 및 인재 양성 ▲ 인공지능(AI) 중심 전환 등 6개 항목을 평가했다.
서울시는 2022년 10위권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그러다 전 세계적인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 현상으로 국내 투자시장이 위축된 2023년 12위까지 순위가 밀렸으나 지난해 9위로 반등에 성공했다.
이어 올해 역대 최고 순위를 경신하며 창업생태계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특히 아시아 대표 창업 도시로 손꼽히는 싱가포르(9위), 도쿄(11위)를 제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1위는 실리콘밸리(미국), 2위 뉴욕, 3위 런던(영국), 4위 텔아비브(이스라엘), 공동 5위 보스턴(미국)과 베이징(중국), 7위 LA(미국)이다. 서울은 6개 평가항목 중 5개 항목에서 10점 만점 중 9점 이상의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지식축적 항목과 자금조달 항목은 10점 만점이었다. 올해 신설된 AI 중심 전환 항목의 경우 서울이 AI 응용 분야에서는 강점을 보였으나 오픈AI와 같은 AI 기술 자체를 핵심 사업모델로 삼는 스타트업 수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아 3점에 그쳤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도시의 생명력과 미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 지표가 창업 지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2030년까지 글로벌 톱5 창업 도시 도약과 유니콘기업 50개 육성을 목표로 AI, 바이오, 로봇, 양자, 핀테크 등 혁신기술 기반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