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급 AI도 완전한 AGI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유는?…"똑똑하지만 멍청한 들쭉날쭉 지능"

2025-08-12     진광성 기자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 도구로 제작한 이미지. (사진=AI포스트 DB)

인공지능(AI) 모델들의 성능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대학생, 대학원생을 넘어 박사급 능력을 갖췄다는 AI 모델까지 등장했다. AI 시장을 견인하는 오픈AI는 '박사급 인공지능' GPT-5를 최근 출시했다. 

샘 알트만 최고경영자(CEO)는 "GPT-5를 사용한 뒤 GPT-4로 돌아가는 것은 정말 힘들었다"라며 "GPT-3는 고등학생, GPT-4는 대학생과 대화하는 느낌이었다면 GPT-5는 박사급 전문가와 대화하는 느낌이다"라고 밝혔다. 

수학, 과학, 코딩 등 주요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최고의 성능을 보였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알트만 CEO는 "사람처럼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범용 AI는 아니다"라며 "인공일반지능(AGI) 구현을 위해서는 학습이 지속돼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런던 거리, 용'이라는 프롬프트에 '지니 3'가 만들어 낸 3D 월드. (그래픽=구글 딥마인드)

박사급 전문가 수준이라면서도 아직까지 AGI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AGI는 인간의 개입 없이 모든 일을 스스로 수행하는 AI로 이해되고 있다. 아직까지 명확한 정의가 없지만, 업계에선 AI가 스스로 추론하고 성장할 수 있는 단계를 AGI로 보고 있다.  

구글 딥마인드는 최근 다양한 상호작용 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는 범용 월드 생성 모델인 지니 3를 발표하며 관심을 받고 있다. 해당 모델은 프롬프트와 이미지를 조합해 3D 세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람이 현실 세계에서 학습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AI 에이전트가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게 핵심이다. 

구글 딥마인드 개방성 팀의 연구 과학자인 잭 파커-홀더는 "실제 세계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특히 어려운 에이전트의 경우 인공일반지능(AGI)로 가는 길에서 세계 모델이 핵심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상상하지도 못했던 '지니 3'와 같은 기술도 AGI로 향하는 디딤돌 정도 수준이라는 것이다.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사진=AI포스트 DB)

그렇다면 최첨단 AI 모델들이 AGI로 평가받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이같은 질문에 대해 구글 딥마인드 CEO인 데미스 허사비스(Demis Hassabis)는 '일관성이 핵심'이라고 답했다. 허사비스 CEO는 최근 한 팟캐스트에서 제미나이와 같은 고급 모델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해결하는 문제에도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허사비스 CEO는 '제미나이 딥 싱크(Gemini Deep Think)'를 예로 들며 "고등학교 수학에서 여전히 간단한 실수를 할 수 있다"라며 "균일하지 않은 지능, 들쭉날쭉한 지능 때문"이라고 했다. 제미나이 딥 싱크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금메달에 해당하는 점수를 공식으로 인정받은 모델이다. 

그는 "어떤 차원에서는 정말 훌륭하지만, 다른 차원에서 약점이 아주 쉽게 드러나기도 한다"라고 덧붙였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도 허사비스와 비슷한 견해를 밝힌 바 있다. 피차이 CEO는 현재 AI 개발 단계를 ‘AJI(Artificial Jagged Intelligence)’라고 표현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 (사진=Sundar Pichai X)

AJI는 특정 분야에서 탁월하지만, 다른 분야에서 터무니없는 실수를 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다. 허사비스 CEO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컴퓨팅을 확장하는 것 이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추론 및 계획 능력의 일부 부족한 기억력'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깊은 사고를 통해 여러 계획을 병렬로 진행해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는 과정도 중요하며, 모델의 우수성과 부적합성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한 더 나은 테스트와 엄격한 벤치마크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허사비스 CEO는 "앞으로 5년에서 10년 안에, 혹은 그보다 더 짧은 기간 안에 AGI라고 부를 만한 무언가가 등장할 지도 모른다"라고 밝힌 바 있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창업자도 5년 내로 인간과 같은 수준의 인공일반지능이 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