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딥시크, 연말까지 AI 에이전트 출시 목표"…AI 에이전트 경쟁 불 붙는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탑재한 새로운 모델 출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현지시간)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딥시크가 데이터 분석, 시각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작업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AI 에이전트를 개발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기존 작업 등을 기반으로 학습하고 성능을 개선하는 기능을 갖출 예정이다.
딥시크 창립자 량원펑은 올해 4분기에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공개하도록 팀원들을 독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딥시크는 지난 1월 인간의 추론 과정을 모방한 경쟁력 있는 모델 'R1'을 출시해 글로벌 AI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당시 딥시크는 개발 비용이 수백만 달러에 불과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후 딥시크는 소규모 업그레이드만 진행해 왔다. 딥시크는 지난 달에도 자사의 기존 거대언어모델(LLM) V3 모델을 업그레이드한 V3.1 버전을 공개한 바 있다.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은 내부 회의에서 R2 모델 개발이 지연되는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하며 고급 모델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에이전트 중심의 모델 개발 계획은 기술 업계의 더 광범위한 변화를 반영한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오픈AI, 앤트로픽,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은 최근 몇 달 동안 개인 및 업무용 작업을 간소화하기 위한 AI 에이전트를 출시했다. 앤트로픽은 지난해 말 주어진 목표에 따라 스스로 자료를 찾고 작업을 수행하는 모델을 내놓으며 'AI 에이전트' 시장 진입 신호탄을 쐈다.
최근 크롬 브라우저 내에서 클로드에게 작업을 대신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 '클로드 포 크롬'의 연구 프리뷰 버전을 선보이기도 했다. MS도 지난해 실시간 통역, 행정 업무 등을 수행하는 AI 에이전트를 뒤따라 공개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도 최근 사용자를 대신해 업무를 수행하는 AI 에이전트를 선보였다. 새로운 AI 에이전트들은 휴가 계획 수립부터 코드 작성 및 디버깅까지 복잡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딥시크를 비롯한 AI 기업들은 인간의 개입 없이 복잡한 현실 세계의 작업을 스스로 수행하는 AI 에이전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AI 에이전트 개발과 관련, 딥시크 측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