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오픈AI에 140조원 쏜다…"원전 10기 규모 'AI 데이터센터' 구축 지원"
엔비디아가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최대 1000억 달러(약 140조원)를 투자해 대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엔비디아는 22일(현지시간) 오픈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오픈AI에 10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력에 따라 최소 10기가와트(GW) 규모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의 칩이 탑재될 예정이다. 10GW는 원전 10기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번 투자로 엔비디아는 오픈AI 지분을 확보하게 되며, 양사는 수주 내로 세부 협약을 확정할 계획이다. 양사는 2026년 하반기 AI 인프라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 젠슨 황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 프로젝트는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다"라며 "이 파트너십은 AI가 연구실에서 벗어나 세상으로 뻗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이런 규모와 속도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파트너는 엔비디아 외에는 없다"라며 "인프라는 우리가 하려는 모든 일에 매우 중요하다. 더 나은 모델을 만들고, 수익을 창출하고, 모든 것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계약을 통해 구축된 백만 개의 GPU AI 팩토리는 오픈AI가 차세대 AI 모델을 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투자금은 단계적으로 제공되며, 첫 100억 달러는 첫 1기가와트 규모의 컴퓨팅 자원이 배치될 때 투입된다. 더불어 투자의 1단계는 내년 하반기 엔비디아 차세대 AI 칩인 '베라 루빈'을 활용해 가동된다.
이번 파트너십은 2016년 젠슨 황 CEO가 오픈AI에 최초의 엔비디아 DGX 시스템을 직접 제공하면서 시작된 오랜 협력의 연장선이다. 그렉 브록만 오픈AI 회장은 "우리는 모든 개인과 기업에 힘을 실어줄 새로운 혁신과 새로운 모델을 실제로 만들어낼 수 있다. 다음 단계의 규모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젠슨 황 CEO는 "10기가와트는 400~500만개 GPU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는 올해 출하할 총량과 같다"라고 강조했다. 오픈AI는 2022년 말 챗GPT를 출시한 이후 AI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부상했다. 오픈AI는 오라클·소프트뱅크와 함께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약 730조원)를 미국 내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시설에 투자한다는 것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다음 날인 1월 21일 발표됐다. 오픈AI는 이번 파트너십이 오라클, 소프트뱅크 등과 함께 진행 중인 AI 인프라 구축 작업을 보완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