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만 예비후보, 소셜미디어상 '경제' 키워드 '눈길'

광주 유일 민주당 전략 선거구 '광주 서구을' 김경만 예비후보 키워드로 '민주당', '경제' 등 긍·부정 분석 결과…'노력·공감' 키워드 부상

2024-01-30     유형동 수석기자
김경만 예비후보. (사진=김경만 예비후보 SNS)

2024년은 이른바 '선거의 해'이다. 미국에서는 대통령 선거, 한국에서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다. 총선이 석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각 당에서는 물밑 공천 경쟁이 한창이다. 많은 비례대표 의원들이 현역 의원 지역구에 출사표를 냈고, 원외 인사들도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그 어느 때보다 거대 양당 체제에 대한 국민적 피로도가 높은 상황에서 진행되는 이번 총선. 유권자들의 현명한 선택을 돕고 후보별 IT·소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인공지능 전문언론 AI포스트(AIPOST)는 '빅데이터로 본 X' 시리즈를 게재한다. <편집자주>

광주 서구을 선거구는 광주 최대 격전지로 꼽힌다. 광주지역에서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이 '전략 선거구'로 지정하기도 했다. 우선 현역 국회의원으로는 양향자 의원을 비롯, 민주당 비례대표인 김경만 의원, 정의당 비례대표인 강은미 의원 등이 재선 도전에 나선다. 전 국회의원을 지낸 김광진 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과 양부남 민주당 법률위원장이 입지를 다지고 있다. 

30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4.10 총선 예비후보 현황에 따르면 양부남 민주당 법률위원장, 김경만 국회의원, 김광진 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 강은미 국회의원, 김해정 진보당 서구을지역위원장이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예비후보들을 놓고 하나같이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김경만 예비후보는 중소기업중앙회에 근무한 중소기업 전문가이다. 지역 경제 부흥을 위해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런 평가를 기반으로 광주에서 재선에 도전한다. 김경만 예비후보는 주요 포털과 SNS상에서 어떤 키워드가 부각되고 있을까. 

김경만 예비후보 언급량. (사진=썸트렌드)

AI포스트가 지난 1월 1일부터 1월 26일까지 SNS(블로그·뉴스) 기반 빅데이터 사이트인 '썸트렌드'를 통해 키워드와 언급량을 분석했다. 양부남 예비후보의 언급량은 총 67회로 기록됐다. 이달 들어 김경만 예비후보가 가장 큰 관심을 받은 날은 25일이다. 이날은 총선을 앞두고 서구을 지역 판세를 분석하는 모 언론사의 특집 기사와 김 예비후보의 의정 활동과 관련된 게시글이 쏟아진 날이다. 

8일 몇몇 언론사 기사에서 김경만 예비후보가 언급되기도 했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탈당을 앞두고 김경만 예비후보가 민주당의 결집을 호소하는 목소리를 낸 날이다. 김경만 예비후보는 "윤석열 정부는 권력을 사유화하며 가족 방탄에만 골몰하고 있다"며 "이에 맞서려면 민주진영이 하나로 똘똘 뭉쳐야 한다. 민주진영의 분열을 패망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김경만 예비후보 언급량 추이. (사진=썸트렌드)

이어 "이낙연 전 대표께선 신당 창당을 중단하고 당내에서 힘을 모아달라"며 "민주당의 어른으로서 민주당을 분열시키는 신당 창당을 멈춰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김경만 예비후보의 연관어도 분석했다. '민주당', '의원', '총선' 등 키워드가 순위권에 올랐다. '경제'라는 키워드도 눈길을 끈다. '경제전문가'라는 수식어가 붙은 몇몇 게시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긍·부정 키워드 분석도 실시했다. '노력하다', '공감하다' 등이 의미 있는 키워드로 부상했다. 광주 현안사업 추진을 위한 입법 활동을 이어오며 노력했던 점, 국민 눈높이와 감정에 공감하는 의정 활동을 펼친 점을 강조한 글이 게시되며 반영된 결과다. 

한편 김경만 예비후보는 광주 충장중학교와 살레시오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외대 영어학과를 졸업했다. 중소기업 중앙회에 입사해 2018년까지 주요 보직을 거치며 중소기업 정책과 지원 업무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