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은 9일 인공지능(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AI 반도체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AI·반도체 분야에 2027년까지 9조 4000억원을 투자하고, 기업들의 성장을 돕는 펀드도 조성키로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반도체 현안 점검회의에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반도체 경쟁은 산업 전쟁이자 국가 총력전”이라며 “전시 상황에 맞먹는 수준의 총력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 산업 유치를 위한 투자 인센티브부터 전면 재검토하고, 주요국의 투자 환경과 지원 제도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과감한 지원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지난 30년간 메모리 반도체로 우리가 세계를 제패했듯이, 앞으로 30년은 AI 반도체로 새로운 반도체 신화를 써 나갈 것이다"라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AI 분야의 G3 달성과 AI 반도체 이니셔티브를 실현하기 위해선 민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난 4일 출범한 AI전략최고위협의회를 앞으로 국가 AI위원회로 격상해 ‘AI 국가 전략’을 제가 직접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2030년 세계 시스템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10% 이상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윤 대통령은 “AI와 AI 반도체 분야에 2027년까지 9조4000억원을 투자하고, AI 반도체 혁신 기업의 성장을 돕는 1조4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정배 삼성전자 사장,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류수정 사피온코리아 대표를 비롯한 기업 대표들과 최상목 경제부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