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지 경기도청 에너지산업과장은 24일 대구광역시 엑스코(대표이사 표철수)에서 열린 '2024 태양광 마켓 인사이트(PVMI 2024)' 태양광 정책 및 투자동향 세션에서 연사로 나서 '경기 RE100 비전과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연지 과장은 한국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현황을 소개한 뒤 경기도의 대응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다. 특히 김 과장은 지난해 선포한 '경기 RE100 비전'과 대응전략인 'Switch the 경기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고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계획이 실현되면 경기도내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온실가스 흡수원 포함) 7764만 3000톤에서 올해 6403만 톤, 2030년(온실가스 흡수원 포함시) 4658만 1000톤으로까지 감소하게 된다.
김연지 과장은 "이격거리 규제는 태양광 확산에 가장 큰 걸림돌이다"라며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가 합의를 끌어내고, 상위법에서 규제를 폐지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라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공공 RE100 △기업 RE100 △도민 RE100 △산업 RE100 등이 추진된다. 김연지 과장은 "경기도는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30% 약속을 이행하고, 산단 및 특구 등 대규모 부지를 발굴해 민간 투자를 유치할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로 도민의 소득을 높이고, 에너지취약계층의 복지를 증진하며 에너지전환을 선도해 민간 확대를 이끄는 등의 노력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연지 과장은 "향후 경기도의 28개 공공기관(본사·지사·입주기관)들이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라며 "민관협력 상생모델 추진, 수요산단 금융지원 등을 통해 산단 내 재생에너지 확산에도 힘쓸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RE100 기금을 통해 중소기업의 에너지 효율화도 경기도가 지원한다고 김 과장은 전했다.
도민들을 위한 정책도 공개했다. 김 과장은 "아파트나 주택태양광 설치를 지원하고, 에너지취약지역 대상 마을단위로 지원함으로써 에너지 복지를 확대하겠다"라며 "영농형 태양광 시범 사업 및 단계적 확대를 통해 농가소득 증진에도 경기도가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행동 기회소득 플랫폼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또한 김 과장은 "저탄소 산업구조 전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2026년까지 대한민국 대표 기후테크 스타트업 100개사를 발굴하고 육성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기업 육성, 투자 확대, 인력 양성, 거버넌스 구축 등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