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포스코DX과 ‘로드킬 예방시스템’ 개발
야생동물 도로 위 출현 시 전광판에 실시간 전송돼
한려해상공원 상주·금산지구 내 우선 시행 후 확대
인공지능(AI) 기반 야생동물 찻길 사고(로드킬) 예방 시스템이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도입된다. 멧돼지, 고라니 등 동물이 갑자기 도로 위에 출현하는 경우 미리 전광판을 통해 알림을 받을 수 있게 됐다.
25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AI기술을 활용한 '야생동물 찻길사고 예방·관측(모니터링) 시스템'을 오는 26일부터 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지구 내 19호선 국도 약 350m 구간에 시범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도입되는 시스템은 레이저를 쏘았을 때 되돌아오는 시간을 파악해 사물의 정보를 측정하는 장비인 라이다(LiDAR) 센서와 지능형 폐쇄회로(CC)TV 등으로 구성됐다. 도로 양쪽에 장비를 설치하고 야생동물이 출현하면 AI기술이 영상자료를 분석해 양끝 도로에 설치된 LED 전광판에 '야생동물 출현, 절대 감속'과 같은 알림 문구를 띄우는 방식이다.
운전자에게 현재 도로에 출현해 있는 야생동물 정보를 전광판에 실시간으로 알려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난 3월 28일 포스코DX와 환경·사회·투명경영(ESG) 업무협약을 맺었다. 포스코DX는 야생동물을 정확히 판독할 수 있도록 자체 인공지능 기술인 'VISION AI'를 활용해 시스템 최적화를 진행해왔다.
국립공원공단 측은 이번 시범 운용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보호종 관측 등 국립공원 생태계 보전을 위해 사용범위를 점차 확대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손영임 국립공원공단 자원보전이사는 "이번 협력 사업이 국립공원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ESG 모범 사례가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AI포스트(AIPOST) 나호정 기자 hojeong9983@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