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한미중 AI 인재 전략 보고서
韓 AI 인재 2551명…전 세계 0.5% 수준
컨트롤타워 구축, 인재 영입 강화 등 주문
한국의 인공지능(AI) 인재 비중이 전 세계의 0.5%에 불과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AI 강국인 미국·중국의 전략을 벤치마킹해 범정부 콘트롤타워 구축·세계적 인재 영입 등 정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AI 인재 수, 주요 30개국 중 22위
20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해 발간한 ‘한·미·중 AI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 AI 분야 전문 인재 수는 47만7956명으로 집계됐다. 한국이 보유한 AI 인재 수는 2551명으로 전 세계의 0.5%에 불과했다. 주요 30개국 중 22위에 그쳤다. 보고서는 AI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보고’를 인용한 수치다.
AI 전문 인재를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은 18만8300명(39.4%)인 미국이다. 2위는 인도(7만6213명·15.9%), 3위는 영국(3만5401명·7.4%), 4위는 중국(2만2191명·4.6%) 순이었다. 한국, 미국, 중국의 AI 인재 육성 및 영입 전략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 범정부 차원 컨트롤타워 구축 ▲ 초중고 기초교육 강화 ▲ 해외 인재 영입 기반 정비 세 가지 측면에서 전략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AI 인재 강국 미국의 전략은?
미국은 전략적으로 해외 인재를 영입하고 있다. 석·박사 해외 유학생 비중이 3분의 2로 높다. 컴퓨터 과학 분야 미국 유학생 비중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미국은 테크기업이 고액의 연봉, 연구개발비를 제공하며 인재를 영입 중이고, 학위를 마친 유학생이 최대 36개월간 임시 취업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주는 프로그램(OPT)이 있다.
유학생들이 졸업 후 미국에서 일하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어 있다. 특히 미국에서 AI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의 82%~92%가 졸업 후 첫 5년간 미국에 남아 일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은 초중고 AI 기초교육도 확대하고 있다. AI 기초학문으로서 컴퓨터 과학, STEM 교육 중요성을 인식해 오바마 대통령이 2011년 ‘10년 내 10만명의 우수 STEM 교사 양성’을 추진했다. 2016년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 구상을 제시하고 각 주, 지역 학군의 인프라 확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3년간 40억 달러를 투입했다.
2021년 ‘2021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법’을 제정해 거의 모든 주가 컴퓨터 교육을 강화했고, 일부 주(네바다·사우스캐롤라이나·테네시·아칸소·네브라스카)는 컴퓨터 교육을 의무화했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는 현재 코딩 과목을 고등학교 졸업 필수로 지정하는 방안 논의중이다.
세계 최초로 AI 교재 개발한 中…AI 전문가 전폭 지원
중국은 2001년부터 초중고교에서 정보기술 과목을 필수로 설정해 의무교육을 20년 넘게 추진했다. 교육시수는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두어 초등학교 68시간 이상, 중학교 68시간 이상, 고등학교 70~140시간으로 설정했고, 고교단계에서 입시준비로 인한 교육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대학입시에 정보기술 과목을 필수로 포함했다.
2018년 세계 최초로 AI 교재를 개발해 유초중고, 직업교육 등 생애주기별 AI 의무교육을 실시했다. 대학교육에서는 ‘AI + X(전공 및 산업 분야)’ 융복합 교육을 하는 곳에 재정지원을 하며 AI 융복합 인재를 양성했다. 중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2009년 ‘천인계획’을 시작해 규정과 틀을 넘어선 소득 및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인재의 요구에 맞춘 파격적인 사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연구에 따른 지식재산권도 보장해준다.
대표적으로 튜링상(컴퓨터과학 분야 노벨상, 구글이 매년 100만 달러의 상금 후원) 수상자인 야오치즈 칭화대학 교수를 영입할 때, 그가 원하는 학과 개설, 교육과정 도입 등 학생 교육에 전권을 부여하며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범정부 차원 컨트롤타워 필요
미국과 중국은 AI 인재 양성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존재한다. 중국은 국무원이 국가차원의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교육부가 인재 양성 실행계획을 추진한다. 미국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AI 기술발전전략을 담당하고, 교육부가 AI 기초학문인 컴퓨터 과학, STEM 교육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한국은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4개 부처뿐만 아니라 시도교육청도 산발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는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이 국정과제로 포함된 만큼,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가 되어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을 제안했다.
AI 교사 확충도 강조했다. 중국은 2001년부터 정보기술 교육을 일관되게 실시했고, 미국은 2011년부터 10년간 10만 STEM 교사 양성을 추진한 덕분에 전문교사 수가 비교적 많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가 현직교사 중 희망자를 선정해 재교육하는 수준에서 인력수급 해소를 시도 중이다. 보고서는 AI 교육은 전문성이 중요하므로, 신규교사 임용 시 AI 자격증을 필수로 하자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AI 인재 확보를 위해 해외인재 영입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AI 인재들은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으로 유출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간 차원에서 높은 급여, 매력적인 연구 환경 등을 제공해 우수 인력을 유치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 외국인 비자 규제 완화와 한국판 천인계획 등으로 세계적 인재 영입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외 인재 영입 기반도 불비하다. 보고서는 AI 인재들을 미국, 중국 등으로 뺏기고 있는 만큼 높은 급여와 매력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정부 차원의 비자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인재 영입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AI 경쟁력의 핵심은 곧 인재인데, 우리나라의 글로벌 AI 전문 인재 보유 비중은 0.5%에 불과하다”며 “초중고 AI 기초교육을 강화하고 글로벌 AI 인재 영입을 위한 제도를 정비해 AI 인재 확보에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산업계에서는 AI 인재의 양적 부족에 더해 질적 미스매치 해소가 시급하다”라며 “우수한 전문 강사를 많이 확보하고, 초중고 단계별로 심화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AI 기초교육을 질적으로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