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내년 일부 부처 대상 시범서비스 도입
공무원이 키워드 입력하면 AI가 문서 초안 작성
법령·지침·판례도 AI 대신 검색, 적절한 정보 찾아줘

정부가 행정업무용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마치고 현장 실사에 들어간다. (사진=달리3)
정부가 행정업무용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마치고 현장 실사에 들어간다. (사진=달리3)

행정업무용 인공지능(AI) 서비스가 내년 일부 중앙부처와 지방자체단체를 대상으로 시범 도입될 전망이다. 앞으로 AI가 공무원 대신 보도자료 초안을 작성해주고 법령·지침·판례까지 대신 찾아줄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14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AI, 업무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라는 주제로 제25회 워크스마트포럼을 개최하고 민간기업과 개발한 정부 행정용 인공지능 서비스를 공개한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4월 행안부가 추진 방안을 마련한 이후 7월 서비스 개발을 시작해 11월 최종 점검을 마쳤다. 네이버·KT·LG·SKT·솔트룩스 등 국내 기업이 이번 사업에 참여했다. 행안부는 AI를 행정 업무에 도입할 때 공공성과 보안이 중요한 만큼 문서 작성이나 정보 검색 등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에만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예컨대 보고서·민원 답변, 보도자료 등 초안을 작성해주고 공무원이 필요로 하는 법령이나 지침, 판례 등을 검색해준다. 모든 초안은 공무원이 재차 검증하고 보완한다. 올해 시범 개발된 서비스는 내년부터 중앙부처와 지자체 일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된다. 지자체와 중앙정부에서 많이 사용하는 정부 업무관리 시스템인 '온나라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이번 서비스 개발로 공무원 업무에 시간이 단축돼 행정의 질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부는 올해 이 사업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화 내년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할 예정이다. AI 기술을 정부의 업무관리 시스템에 적용해 개편할 계획이고 장기적으로는 범정부 AI 공통기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AI 기술을 행정업무에 적용해 국민에게 더욱 촘촘하고 품질 높은 행정·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예정"이라며 "앞으로도 AI·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해 일 잘하는 정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AI포스트(AIPOST) 유진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