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월 구독 요금 3000만원에 달하는 고급 인공지능(AI) 에이전트 도입을 추진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월 200달러를 지불해야 하는 챗GPT 프로보다 100배나 높은 금액이다.
5일(현지시간) IT 매체 디인포메이션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투자자들에게 AI 에이전트 요금 책정 계획을 밝혔다. 오픈AI는 AI 에이전트 성능을 3가지로 구분해 판매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먼저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를 위한 제품은 월 2000달러(약 290만원) 수준의 AI 에이전트를,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제품은 월 1만 달러(약 1450만원)의 에이전트를, 박사 수준의 연구를 위한 제품은 월 2만 달러(약 2900만원)의 에이전트를 판매할 수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디인포메이션은 "AI가 연봉 20만 달러(약 2억 9000만원)의 개발자나 중요한 의료 연구자 수준의 일을 해낼 수 있다면 사람들은 더 큰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을 것"이라며 "챗GPT 프로로 좋은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수익성이 없을 수 없다"라고 분석했다.
매체는 오픈AI의 향후 연 매출이 40억 달러(약 5조 8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했다. 연 매출 가운데 20~25%가 AI 에이전트 분야에서 나올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기업들이 AI 에이전트 분야에 뛰어드는 가운데 오픈AI도 매출을 끌어올리기 위해 기업용 AI 에이전트 시장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최근 '오퍼레이터'라는 첫 에이전트를 공개한 바 있다.
연구 기관에서도 오픈AI AI 모델을 활용해 핵융합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이는 고급형 에이전트가 수행할 역할과 유사하다고 디인포메이션은 전했다.
앞서 오픈AI의 주요 투자자인 소프트뱅크는 오픈AI의 AI 에이전트 개발에 30억 달러(약 4조 3000만원)를 투자하기로 약속했다.
AI포스트(AIPOST) 조형주 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