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만든 사진, 실제 사람 사진으로 오인하는 비율 높아
백인 완성도 더 높아…"오류 정보 확산, 신원 도용 우려도"
인공지능(AI)이 그려낸 사람 얼굴이 실제 사람을 찍은 사진보다 더 진짜처럼 보인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AI 사진 등을 활용한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AI가 그려낸 얼굴 사진과 실제 사람 얼굴 사진을 구분하도록 하는 실험 결과 AI 백인 얼굴 사진이 실제 사람보다 더 현실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극사실주의(하이퍼 리얼리즘)' 현상이 확인됐다. 이는 최근 진행된 AI 사진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른 것이다.
당초 이 사진을 통해 연구를 진행한 호주국립대(ANU) 에이미 다웰 교수 연구팀은 AI 생성 얼굴 50장과 실제 얼굴 사진 50장을 이용한 실험에서 AI 백인 사진을 실제 사람 사진보다 더 진짜 같다고 판단한 사람이 많았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 결과 유색 인종의 경우에는 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제 NYT가 기사에서 제시한 AI 백인 얼굴 사진 5장 중 4장은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의 89∼93%가 진짜 사진으로 착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생성 AI가 학습한 수만 장에 이르는 실제 인간 얼굴 사진의 대부분이 백인 얼굴이었기 때문에 백인 얼굴이 현실보다 더 현실적으로 나온다는 분석이다.
심지어 AI 사진을 진짜 사람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범한 사람들이 자기 판단에 대해 더 강하게 확신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에이미 다웰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현상을 놓고 지식이 얕을수록 더 많이 안다고 생각하는 일명 ‘더닝-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문제는 속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들이 속고 있다는 사실을 감지할 가능성이 낮다는 점”이라며 “기술의 발달될수록 잘못된 정보 확산과 신원 도용 등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정답 - ① Real ②Real ③Generated By AI ④Real ⑤Real ⑥Generated By AI ⑦Generated By AI ⑧Real ⑨Generated By AI ⑩Generated By AI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