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호출 서비스 '올라' 창업자 바비시 아가르왈
세 번째 사업으로 AI 스타트업…지난달 LLM 공개
크루트림, 다양한 인도 언어 학습한 '챗봇' 출시

올라 창업자 바비시 아가르왈이 설립한 크루트림이 최근 유니콘 기업에 등극했다. (사진=Bhavish Aggarwal X)
올라 창업자 바비시 아가르왈이 설립한 크루트림이 최근 유니콘 기업에 등극했다. (사진=Bhavish Aggarwal X)

기업가치 1조 원이 넘는 비상장 신생기업, 이른바 ‘유니콘 기업’이 인도에서도 대거 탄생하고 있다. 지난 2018년 이후 인도에서 탄생한 유니콘 기업은 총 107개사로 세계 3위 규모를 자랑한다. 최근 유니콘에 등극한 인도의 한 스타트업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인도 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으로서는 최초이기 때문이다.  

26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인도 최대 차량공유업체인 올라(Ola) 창업자 바비시 아가르왈(Bhavish Aggarwal)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이 설립한 AI 스타트업 크루트림이 투자자들로부터 10억 달러(약 1조 3350억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아가르왈 CEO는 유니콘이 된 최초의 인도 AI 스타트업이라고 부연했다. 

크루트림은 지난해 12월 인도의 첫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아가르왈 CEO는 “챗GPT 등 언어모델들은 영어가 우선순위에 있기 때문에 인도의 문화, 언어, 기풍을 담을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은 LLM을 공개한 지 한 달여 만에 유니콘에 등극한 것이다. 크루트림은 산스크리트어로 '인공'을 의미한다. 

(사진=크루트림)
(사진=크루트림)

특히 크루트림의 LLM은 수 십가지의 인도 현지 언어를 학습한 모델이다. 힌디어, 칸나다어, 마라티어, 오디야, 텔루구어 등 언어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한다. 여러 인도 언어를 이해하고 말하는 대화형 AI 비서를 출시한다는 것이 기업 측의 설명이다. 

인도어 실력만큼은 GPT-4 모델보다 뛰어나다는 설명이다. 크루트림은 다음 달 기업의 이름을 딴 챗봇을 소비자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개발자와 기업들에게도 API를 배포한다는 계획이다. 사실 크루트림의 경우 아가르왈 CEO의 세 번째 사업이다. 그의 첫 번째 사업인 올라도 인도 내에서 굳건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아가르왈 CEO는 "첫 번째 펀딩이 성공적으로 마감돼 매우 기쁘고 흥분된다"라고 밝혔다. 다른 국가와 비교해 인도에서는 AI 챗봇에 대한 수요가 유독 큰 것으로 알려졌다.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고, 문맹률이 높아 AI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인도 AI 스타트업들은 가성비 좋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아가르왈 CEO는 "인도는 자체 AI를 구축해야 한다"라며 "인도 최초의 완전한 AI 컴퓨팅 스택을 구축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AI포스트(AIPOST) 조형주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