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디오그램)
(사진=이디오그램)

한국 사회에서 인공지능(AI) 전문가의 사회적 지위가 중소기업 간부, 중·고교 교사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국제비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 8월 한국, 미국, 일본, 독일, 중국 등 5개 국가의 18~64세 취업자 각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직종별 대표직업 15개의 사회적 지위를 5점 척도(매우 낮다 1점∼매우 높다 5점)로 조사했다.

한국은 국회의원(4.16점)이 사회적 지위가 가장 높은 직업으로 꼽혔다. 국회의원에 이어 약사(3.83점), 인공지능전문가(3.67점), 소프트웨어개발자(3.58점) 순으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중·고교 교사(7위), 은행 사무직원(8위), 중소기업 간부(10위) 등 전통적인 직업군이 중위권이다. 소방관(3.08점), 사회복지사(2.54점), 공장근로자(2.19점), 음식점종업원(2.02점), 건설일용근로자(1.86점) 등이 하위권이다. 

한국인의 직업 위세 인식. (사진=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인의 직업 위세 인식. (사진=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별 직업 위세 인식 순위. (사진=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별 직업 위세 인식 순위. (사진=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진은 "직무수행 과정에서 육체적, 정서적 어려움을 수반하지만 보상은 그리 높지 않은 직업들, 예컨대 소방관, 사회복지사, 공장근로자, 음식점종업원, 건설일용근로자 등은 OPS 하위 직업군에 귀속됐다"라고 밝혔다. 

국가별 직업 위세 인식도 눈길을 끈다. 한국과 일본, 중국은 국회의원이 사회적 지위가 가장 높은 직업으로 꼽힌 반면 미국과 독일의 경우 소방관이 꼽혔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경우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회적 지위가 높은 직업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포스트(AIPOST) 진광성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