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이런 결정 안하길 바란다"
인공지능(AI)에게 전쟁을 맡겨도 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챗GPT 아버지' 샘 알트만(Sam Altman)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어떤 답변을 내놓았을까. 그는 '복잡하고 쉽지 않은 문제'라는 인식을 드러냈다.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가 'AI 시대의 지정학적 변화'를 주제로 연 대담에서 샘 알트만 CEO는 한국이 북한에 기습 공격을 받는다면 이를 방어하기 위해 AI에 의존해도 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진행자는 질문에 북한이 서울을 향해 전투기 100대를 출격시키고 한국이 AI가 통제하는 로봇으로 항공기를 격추해 북한 조종사 100명이 목숨을 잃는 상황을 가정했다. AI에게 사람을 죽이는 결정을 전쟁 중에 맡겨도 되느냐는 취지다.
알트만 CEO는 "항공기가 한국에 접근했고 인간이 의사 결정에 관여할 시간이 없을 때 AI가 요격을 결정할 수도 있지만, '그런 공격이 일어나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나', '어느 정도로 확실해야 해야 맡길 수 있나', '예상되는 인명 피해는 어느정도인지', '회색지대의 어느 지점에 선을 그어야 하는가' 등 정말 따져봐야 할 것이 많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누군가 'AI가 핵무기 발사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라거나 접근하는 미사일을 요격할 때처럼 빠르게 행동해야 할 때 AI를 사용해서는 안된다라고 주장하는 것을 들은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오픈AI에서 이런 결정을 하지 않아도 되길 바란다"라며 자신의 전문 분야가 아니라고 시인했다.
알트만 CEO는 지정학적 경쟁이 AI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는 "우리는 분명히 미국과 우리 동맹의 편"이라며 "우리는 이 기술이 인류 전체에 득이 되기를 원하지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지도부가 있는 특정 국가의 국민들에게만 득이 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라고 했다.
이 대담에서 알트만 CEO는 AI가 보편적으로 보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기반 인프라 및 기반시설이 저렴해져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민간뿐만 아니라 정부도 공공재로 투자해 사람들에게 공평하게 분배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알트만 CEO는 AI 기반 시설 확대하는 데 있어 "미국이 이끌면서도 넓고 포용적인 연합체가 이를 주도했으면 좋겠다"라며 "미국만 AI 데이터센터를 지어야 한다는 방식은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