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적 어려움으로 매각설이 나돌던 스태빌리티 AI(Stability AI)가 새로운 최고경영자(CEO)를 임명하고,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지원받게 됐다. 스태빌리티 AI는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모델로 이미지 생성 AI(인공지능) 도구 시장을 이끌었던 AI 기업이다.
21일(현지시간) 디 인포메이션, 벤처비트 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시각효과 회사인 웨타 디지털의 전 CEO 프렘 아카라주(Prem Akkaraju)가 스태빌리티 AI의 새로운 CEO로 임명됐다.
프렘 아카라주 CEO는 전 페이북 회장이자 냅스터 창립자로 유명한 션 파커가 이끄는 투자자 그룹의 일원이다. 이 투자자 그룹은 신임 CEO 임명과 동시에 현금 지원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션 파커는 스태빌리티 AI의 이사회 의장 자리에 오를 예정이다.
사실상 투자자들이 회사를 장악하게 된 셈이다. 스태빌리티 AI의 지난 분기 매출은 500만 달러(약 70억원) 미만이다. 그러나 3000만 달러(약 417억원) 이상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스태빌리티 AI는 지난 한 해 동안 미드저니, 이디오그램, 달리 등 AI 도구들과 경쟁했다.
스태빌리티 AI는 생성형 AI 시장에서 나름대로 기술력을 인정받았음에도 수익 모델 구축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던 중 에마드 모스타크 CEO가 투자자들과의 갈등 등을 이유로 사임했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등 혼란이 빚어졌다.
신임 CEO 임명과 신규 투자 유치로 다시 동력은 얻게 됐지만, 일부 투자자들이 잠식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스태빌리티 AI는 현재 직원 수가 170명이며, 이 중 핵심 엔지니어는 70~80명 정도로 알려졌다.
한편 3달 전 사임한 전 CEO 에마드 모스타크는 자신의 엑스를 통해 "내가 스태빌리티 AI의 지분을 절반 갖고 있음에도 그들(투자자)이 이사회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다"라며 "권력 집중은 모두에게 좋지 않다. 나는 스태빌리티와 다른 곳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임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밝힌 바 있다.
AI포스트(AIPOST) 진광성 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