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특화 AI사업 추진으로 AI집적단지 조성사업(2단계) 완결성 확보 필요
광주연구원 광주정책포커스, 2024년 광주 AI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제시

(사진=미드저니)
(사진=미드저니)

정부가 고용·교통·산업·환경 등 여러 분야에 인공지능과 같은 디지털 기술 적용을 활성화하는 가운데, 광주는 창업과 실증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일상화를 모색함으로써 ‘인공지능 혁신거점’의 위상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연구원(원장 최치국)은 3일 광주정책포커스 ‘2024년 정부 인공지능 활용사업과 연계한 광주 추진과제’를 발간해, 정부 19개 부처가 올해 업무보고에서 발표한 인공지능 활용사업을 분석하고, 정부 정책 부합성과 광주 지역 특화성을 고려하여 10개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올해 정부 업무계획에서는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AI 기반 업무시스템 구축 확대, 첨단기술의 일상적 구현 강화, 민관협력과 시스템 민간개방 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정부 인공지능 활용사업에는 미래모빌리티 일상 구현,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콘텐츠 창·제작, 복지위기 알림, 제조공정 혁신, 지능형 안전관리, 탄소중립포인트 운영 등 광주지역과 밀접한 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사진=미드저니)
(사진=미드저니)

연구진에 따르면, 2024년 광주 인공지능 주요이슈로 ▲인공지능 법제화 조속히 추진 ▲AI집적단지 조성사업(2단계) 완결성 확보 ▲AI-창업-실증 선순환 혁신생태계 조성 ▲다양한 시민체감 서비스를 통한 AI 일상화 선도 ▲지역 중심 민관 디지털협력 강화를 제시했다.

또한, 10대 추진과제로 ①AI 기반 근로자 사고 예방 시스템 구축 ②시민참여형 AI 기반 공공교통 원스톱 MaaS 구축 ③글로벌데이터마이닝센터 설립 ④이주민 디지털 플랫폼 구축 ⑤AI 윤리·보안 거점 연구센터 및 국제협력체계 구축 ➅광주AI기업-인공지능사관학교 연계 실증 데이터 제공 ➆AI·디지털전환 저변확대를 위한 시민 학습 콘텐츠 개발 ➇ 반려동물 학습용 데이터 구축으로 펫테크 스타트업 육성 ➈시민참여 민관 AI·데이터 거버넌스 구축 ➉통합돌봄 서비스의 디지털 기반 지원체계 확장을 제안했다.

(사진=미드저니)
(사진=미드저니)

먼저 연구진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일터 혁신 사업으로 추진해 산단, 건설현장 등 근로자 업무 공간에서 중대재해를 예방해야 한다”라며 “작업 현장 안전 분야에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인간 중심의 AI 기술을 실현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더불어 국제적 협력센터 설립을 통한 데이터마이닝 분야 분석 기술 연구를 선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패턴을 발견하는 기술 연구에 집중하면 산업, 행정, 사회 각 분야의 문제 해결을 통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며 “국가 AI데이터센터 등 우수한 인프라와 연계한 AI·데이터 전문성을 고도화시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광주연구원은 광주 인공지능사관학교 실증 참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구진은 “혁신기술기업의 광주 지역 내 실증에 AI사관학교 교육생 전원이 참여해 시민 체감도를 높이고 실증 제품·서비스 성능 개선에 기여해야 한다”라며 “AI사관학교의 취·창업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해 ‘파워 유저 그룹’ 유지를 통한 지속적인 실증 데이터를 축적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사진=미드저니)
(사진=미드저니)

최근 급부상하는 ‘펫테크’를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연구진은 “세계적으로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기기 등 펫테크 성장률은 2022년부터 10년 동안 연평균 12.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광주지역에서도 최근 5년 동안 반려동물 등록건수가 1.8% 증가했다. AI 융복합 반려동물 전용 제품·서비스 개발로 반려동물 친화도시 광주를 조성해야 한다”라고 했다.

끝으로 연구진은 “올해는 AI도시, 창업도시, 실증도시 광주의 이미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광주지역 산업 및 사회 전 분야에서 인공지능 융복합 기반 신규사업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국비 확보를 통해 지역발전의 기회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