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드저니)
(사진=미드저니)

숏폼(짧은 영상) 동영상 플랫폼으로 유명한 틱톡은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는 틱톡이 이용자들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왜곡된 미의 기준을 심어줄 수 있어 섭식장애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호주 찰스 스터트 대학 연구진은 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연구진은 18~28세 여성 273명을 대상으로 틱톡 콘텐츠가 여성의 체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참가자 중 절반은 여성들이 굶는 영상이나 운동 영상, 체중 감량 노하우를 제공하는 영상을 시청했고, 나머지 절반의 참가자는 자연이나 요리, 동물을 주제로 한 콘텐츠를 시청했다. 그 결과 틱톡 콘텐츠에 10분 정도만 노출되도 이상적인 외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사진=미드저니)
(사진=미드저니)

체중 감량 관련 콘텐츠를 접한 참가자들은 날씬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주입될 가능성이 높고, 자신에 대한 나쁜 감정을 느꼈다고 나타났다. 또 하루에 2시간 이상 틱톡을 사용하는 여성들의 경우 비정상적인 식습관을 가진 비율이 높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저자들은 식욕 부진, 섭식 장애 및 신체 관련 틱톡 콘텐츠에 대한 '더 엄격한 통제 및 규제'를 권고했다. 한편 틱톡은 올해부터 극단적인 다이어트나 체중 감량 등을 위한 약물 오남용 콘텐츠를 금지하고 있다. 

AI포스트(AIPOST) 유진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