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중장년 일자리 실태 분석 결과 공유
광주인자위, 특화훈련 사업 현황 및 우수사례 발표
스마트인재개발원 '취업률 제고' 노하우 소개

2023년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 성과보고회 단체사진. (사진=AI포스트)
2023년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 성과보고회 단체사진. (사진=AI포스트)

광주상공회의소 광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는 2023년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 성과보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산업구조변화 대응 등 특화훈련은 산업구조변화 등 신산업육성 또는 고용위기로 인해 어려움이 발생되는 분야의 재직자 및 구직자의 고용 활성을 위한 차별화된 직업훈련 특화 사업이다. 직무능력개발을 위한 취·창업 및 이·전직 훈련 등이 대표적이다. 

스마트인재개발원을 비롯 국제직업전문학교, 광주국제직업전문학교, 호남직업전문학교, 그린컴퓨터아트학원 등 지역 내 20여 개 기관들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날 열린 2023년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 성과보고회는 특화훈련 사업 현황과 특화훈련 운영 우수기관의 사례를 함께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상하 고구려대학 교수가 첫 번째 연사로 나서 '광주광역시 중장년 일자리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박 교수는 광주 주요 고용지표 현황과 더불어 국가별 중장년 일자리 정책동향, 광주 중장년 일자리 설문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제도적, 정책적 지원책을 담은 중장년 일자리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2023년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 성과보고회. (사진=AI포스트)
2023년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 성과보고회. (사진=AI포스트)
차현석 스마트인재개발원 기획실장이 스마트인재개발원의 노하우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AI포스트)
차현석 스마트인재개발원 기획실장이 스마트인재개발원의 노하우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AI포스트)

이어 광주인자위 정현경 수석은 '2023년 광주지역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정 수석은 ▲2023년 특화훈련 공모 결과 ▲특화훈련 운영절차 ▲광주지역 육성산업 및 직종 ▲훈련 및 인력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한 훈련과정 개설 성과 등을 상세히 공개했다.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운영 우수사례도 발표됐다. 전세염 호남직업전문학교 센터장의 '산업변화에 따른 과정 개발', '차현석 스마트인재개발원 기획실장의 '교육생 눈높이에 맞춰라', 김병권 NEW국제직업전문학교 학교장의 '새시대를 창조할 인재양성' 등 우수사례가 발표됐다. 

광주광역시가 인공지능(AI)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광주지역에서 가장 많은 AI 인재를 배출한 스마트인재개발원의 발표는 참가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한편 광주인자위는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 양성 사업, 산업구조변화 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 기업훈련 지원사업, 지역혁신 프로젝트 사업 등을 운영하며, 지역 내 산업 경쟁력 강화, 일자리 문제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