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전문가들을 만났다. 이 대표는 AI 전문가들과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집단지성센터에 접수된 국민들의 질문에 대해 논의했다. 어떤 이야기가 오갔을까.
2일 유튜브 채널 ‘OPQR(모두의 질문Q)’에서 공개된 ‘AI와 대한민국, 그리고 나’라는 주제의 영상에는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을 비롯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센터장, 오혜연 카이스트 교수(AI연구원장) 등이 출연했다.
'인공지능과 예술', '인공지능 시대 일자리'에 대한 의제에 이어 이 대표는 한국의 AI 경쟁력과 관련된 질문을 던졌다. 이재명 대표는 "글로벌 AI 순위를 매길 때 (우리나라가) 그룹으로는 3위, 순위로는 10위권 내로 알려져 있다"라며 "그러나 AI 투자 또는 비즈니스 순위는 높지 않다. 이유가 뭔가"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하정우 센터장은 기존 산업과 새로운 AI 기반 기업들 간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박태웅 의장은 열악한 연구 인프라 문제를 꼬집었다.
박 의장은 연구 인프라(GPU)가 부족 문제를 언급하며 "우리나라가 세계 10위의 경제 대국이다. 돈이 없는 나라가 아니다. 중국보다 1인당 GDP는 훨씬 높다"라며 "그런데 중국은 GPU를 마음껏 쓰고, 우리는 계산기 하나 가지고 5명이 돌려쓰는 있는 격이다. 생태계 관점에서 틀렸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재명 대표는 민간 영역의 조언을 공직사회가 받고, 민간을 받쳐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라고 답변했다. GPU를 포함한 컴퓨팅 인프라 투자의 중요성도 거론됐다. 오혜연 교수는 "미국과 중국의 R&D 투자 액수를 따라갈 수는 없다"라며 "투자가 집중돼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게 다 분산이 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 교수는 "인공지능의 전쟁과 같은 상황에서 연구 그룹, 기업, 민간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줘야 우리가 경쟁을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AI 전문가들은 연구 의제를 과학자들이 직접 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유독 우리나라만 R&D 과제 성공률이 높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하정우 센터장은 "성공할 만한 것들만 한다는 이야기다. 그러니까 혁신이 없다"라고 했다.
박태웅 의장은 "소위 영수증을 풀로 붙이는 작업에 연구자들이 시간을 허비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1분 1초를 아껴서 훌륭한 주제를 연구하게 해서 한국사회에 기여하게 만들 것인가를 선택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고성능 AI 개발을 위한 GPU 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다. 박태웅 의장은 "현대 AI가 놀랍게도 컴퓨팅 파워와 학습데이터, 매개변수 등을 많이 집어넣으면 넣을수록 성능이 일관되게 좋아진다"라며 "규모를 따라가지 못하면 잡을 방법이 없다. 그래서 GPU, GPU, GPU 얘기를 할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의장은 "우리나라에 정말 뛰어난 석사, 박사들이 있고 엔지니어들이 있는데, 이들이 GPU 3만장을 한 번에 돌려본 경험을 못하게 되면 문지방도 못 넘게 된다"라며 "3만장, 5만장, 10만장을 돌려봐야 세계 경쟁에서 따라갈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하 센터장은 GPU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되, GPU를 분산 배치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러자 이재명 대표는 GPU를 확보하는 것외에 정부가 어떤 점을 더 지원해야 하는지를 AI 전문가들에 물었다.
오혜연 교수는 데이터, 인재 등 분야에서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이 매우 크다고 답변했다. 하 센터장은 "중동,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과 연대해 해당 국가들의 문서를 디지털화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해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국내 기업들의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기반으로 다양한 국가와 AI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협력 프로젝트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하 센터장은 덧붙였다.
AI포스트(AIPOST) 조형주 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