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전문가들을 만났다. 이 대표는 AI 전문가들과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집단지성센터에 접수된 국민들의 질문에 대해 논의했다. 어떤 이야기가 오갔을까.
2일 유튜브 채널 ‘OPQR(모두의 질문Q)’에서 공개된 ‘AI와 대한민국, 그리고 나’라는 주제의 영상에는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을 비롯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센터장, 오혜연 카이스트 교수(AI연구원장) 등이 출연했다.
'인공지능과 예술', '인공지능 시대 일자리', 'GPU 활용 전략'에 대한 의제에 이어 이 대표는 AI와 국방과 관련된 질문을 던졌다. 이재명 대표는 “젊은 청년들이 왜 군대에 가서 막사에 앉아 세월을 보내야 하나”라며 “저게 과연 진정한 국방력이고 전투력일까”라고 의문을 표시했다.
이 대표는 "이제 드론, 로봇, 무인 이런 걸로 갈 거고 이제는 국방을 ‘인공지능(AI)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우리가 국방 산업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만들 수 있지 않나"라고 분석했다.
박태웅 의장은 "우리나라 방위 산업이 엄청난 양산 능력으로 세계의 무기창이 되어가고 있다고 하지만, 소프트웨어 역량이 부족해 핵심 부가가치를 뺏기고 있다"라고 진단했다.
이에 하정우 센터장은 국방 행정에서도 AI 생산성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라며 "이후 자연스럽게 무기 혹은 전력에서의 AI 활용 하는 것들을 안보전략 차원에서 봐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라고 답변했다.
이어 이 대표는 인재 부족 문제를 거론했다. 이 대표는 "과학기술이 발전한 나라가 흥하는 것이고, 과학기술 발전을 하려면 과학기술자들을 우대해줘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 오혜연 교수는 "박사들이 미국에 가면 5배, 10배 많은 월급을 받는다"라고 밝혔다.
하정우 센터장은 "병역 특례가 줄면서 해외에 나간 국내 인재들이 들어오질 않는다. 해외 유학생들이 3년간 국내에서 연구개발을 하다가 10%만 남아도 굉장한 혁신을 할 수 있다"라며 "혁신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과학자들이 존경받고, 행복하게 살 수 있다라고 확신을 주는 제도, 장치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오 교수는 "이 직업이 좋고, 매력적이다, 정말 익사이팅한 일을 할 수 있다라는 느낌이 없기 때문에 인재들이 오지 않는다"라며 "즐거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의대에서도 즐거움을 느낄 수 있지만, 공대나 과학 기술 분야로 많은 젊은 이들이 와서 즐거움을 느꼈으면 한다"라고 털어놨다.
이재명 대표는 전문가들에게 '인공지능 시대가 오면 평범한 많은 사람들의 삶이 좋아질까, 나빠질까'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박태웅 의장은 "AI가 평범한 시민들을 어떤 처지로 몰 것인가는 AI에게 달려 있지 않고 사람들에게 달려 있다"라며 "AI가 생산한 부를 골고루 나눠 모든 사람이 편하게 사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시민들과 사회에 달려 있다"라고 답했다.
이재명 대표는 인공지능으로 인한 엄청난 생산성의 일부를 공공의 영역이 가지고 있으면서 국민 모두가 그걸 나누는 시대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예컨대 (한국에) 엔비디아와 같은 회사가 새로 생겼다고 해보자. 국민의 지분이 30%, 민간 지분이 70%라고 하면, 30%를 국민 모두가 나누면 세금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가 오지 않을까"라고 짚었다.
끝으로 이재명 대표는 "제가 꿈꾸는 기본사회는 국민들의 기본적인 삶이 공동체에 의해서 보장되는 사회이다. 안전하니까 도전할 수 있고, 절망하지 않을 수 있는 희망이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된다. 재정력이 관건인데, 그 길을 인공지능이 열어주지 않을까 싶다"라고 강조했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