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연구원이 세계적 모델과 경쟁 가능한 수준의 강력한 추론 인공지능(AI)인 '엑사원 딥(EXAONE Deep)'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LG AI연구원은 오는 21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GTC)에 참가해 엑사원 딥을 소개한다고 18일 밝혔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에 대해 수학적 논리를 이해하고 과학적 개념을 추론하며 프로그래밍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고성능 추론 특화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실제 '엑사원 딥'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학, 과학, 코딩 영역에서 추론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오픈AI와 구글, 중국의 딥시크와 알리바바 등 파운데이션 모델을 보유한 소수의 기업만이 자체 추론 AI를 개발하고 있다. 한국 기업이 자체 개발한 '추론 AI 모델'이 글로벌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점은 의미가 깊다.
LG AI연구원은 320억개의 매개변수를 보유한 '엑사원 딥-32B' 모델을 비롯 '엑사원 딥-7.8B', 온디바이스 모델인 '엑사원 딥-2.4B' 등을 공개했다. 엑사원 딥 32B 모델은 공개 직후 미국 비영리 연구 기관인 에포크(Epoch) AI가 선정하는 주목할 만한 AI 모델 리스트에 등재됐다.
최근 2년간 해당 리스트에 등재된 대한민국 모델은 엑사원이 유일하다. LG AI연구원은 매개변수가 다른 3가지 엑사원 딥의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한 결과 수학, 과학 문제 해결 능력에서 탁월한 성능을 입증했다고 했다.
특히 엑사원 딥-32B 모델은 2025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에서 94.5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했다. 미국 올림피아드 선발 초청 기준으로 활용되는 AIME 2024에서 90.0점을 기록하며 경쟁 모델 가운데 최고 성능을 보였다. AIME 2025에서는 딥시크-R1 모델과 동등한 성과를 달성했다.
까다로운 수학 평가에서 뛰어난 문제 해결 능력과 논리적 추론력을 입증했음을 의미한다. 과학과 코딩 영역에서도 압도적인 성능을 입증했다. 박사 수준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 분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GPQA 다이아몬드(Diamond) 테스트에서 66.1점, 코딩 능력을 평가하는 라이브코드벤치는 59.5점을 기록했다.
전문 지식이 필요한 영역에서도 높은 활용도를 갖췄음을 시사한다. LG AI연구원은 이 같은 성능 평가 결과를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 허깅 페이스에 공개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이 기업들의 전문 분야뿐만 아니라 수학, 물리와 화학 등 과학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 AI연구원은 LG전자와 LG유플러스 등 LG 계열사들과 함께 모델을 고도화해 온디바이스 AI 시장을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G AI연구원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을 통해, AI가 인류의 삶을 더 풍요롭고 편리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