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벡 머시 미국 정부 공중보건국장. (사진=Dr. Vivek Murthy, U.S. Surgeon General X)
비벡 머시 미국 정부 공중보건국장. (사진=Dr. Vivek Murthy, U.S. Surgeon General X)

담배에 부착하는 건강 경고 라벨을 소셜미디어에도 부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비벡 머시(Vivek Murthy) 미국 정부 공중보건국장은 1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플랫폼에도 경고 라벨 부착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벡 머시 미국 정부 공중보건국장은 이날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을 통해 "소셜미디어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의사의 경고 라벨을 플랫폼에 보이게 하는 방안을 의무화해야 한다"라며 "소셜미디어가 안전한 것으로 입증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부모와 청소년에게 상기시켜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가 소셜미디어를 둘러싼 정신 건강 문제를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비벡 머시 국장은 소셜미디어가 10대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하루에 3시간 이상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청소년은 정신 건강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크고, 청소년의 46%가 ‘소셜미디어로 인해 건강이 나빠졌다’라는 연구 결과를 인용했다.

비벡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한쪽에 경고 문구를 띄우는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담배에 부착하는 경고 문구와 유사한 방법이다. 그러나 정부 당국의 의지만으로 플랫폼에 라벨 부착을 강제할 수 없다.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벡 머시 국장의 제안이 빠른 시간 내에 현실화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비벡 머시 국장은 경고 라벨만으로 소셜미디어를 안전하게 만들 수 없지만, 부모나 학교 등 많은 이들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소셜미디어에는 안전벨트도 없고, 보호해주는 헬멧도 없으며,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가 플랫폼이 안전하다는 것을 조사하고 확인했다는 보장도 없다"라고 했다. 

한편 미국 뉴욕주에서 미성년자들을 상대로 소셜미디어를 규제하는 법안이 최근 통과했다. 기업들이 알고리즘을 이용해 아이들에게 중독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이를 막겠다는 것이다. 또 자정부터 새벽 6시까지 미성년자에게 중독성 있는 게시물에 대해 알림을 보내선 안 된다. 

AI포스트(AIPOST) 진광성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