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 (사진=Schmidt Science Fellows)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 (사진=Schmidt Science Fellows)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패권을 두고 전 세계 기업들이 각축을 벌이는 가운데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클로드 개발사 앤트로픽이 가장 앞서간다는 평가가 나온다. IT 업계 왕좌를 지켜온 구글도 제미나이라는 자체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나 대중성 측면에서 오픈AI, 앤트로픽보다 뒤쳐졌다는 분석이다. 

에릭 슈미트(Eric Schmidt)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현재의 생성형 AI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스탠포드대학교는 14일(현지시간) 공식 유튜브 채널에 지난 4월 슈미트 CEO가 스탠포드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한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서 슈미트 전 CEO는 '오픈AI와 앤트로픽과 같은 스타트업이 AI 분야에서 구글을 앞서고 있다'라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슈미트 전 CEO "구글은 일과 삶의 균형과 더불어 일찍 퇴근하고 재택근무를 하는 것이 (시장 경쟁의) 승리보다 더 중요하다고 결정했다"라고 답변했다.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 (사진=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Youtube)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 (사진=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Youtube)

그러면서 슈미트 전 CEO는 "스타트업이 성공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지옥처럼 일하기 때문이다"라며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여러분 모두가 대학을 떠나 회사를 차린다면, 다른 스타트업과 경쟁하고 싶다면 집에서 일하거나 일주일에 하루만 출근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슈미트 전 CEO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구글을 이끌며 세계 최대 IT 기업으로 성장시킨 장본인이라 평가받는다. 그는 이후 구글과 지주사 알파벳 기술고문 등 역할을 하다 2020년 초 회사를 떠났다. 

AI포스트(AIPOST) 조형주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