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류 응 교수. (사진=아마존)
앤드류 응 교수. (사진=아마존)

'AI 4대 천왕'으로 알려진 미국 스탠퍼드대학 앤드류 응 교수가 인공지능(AI) 무기 개발 금지 서약을 철회한 구글을 강하게 지지하고 나섰다. 국가 안보를 위해 AI를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테크크런치 보도에 따르면 앤드류 응 교수는 7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밀리터리 베테랑 스타트업 컨퍼런스'에 참석해 "구글이 입장을 바꿔서 매우 기쁘다"라고 했다. 

구글은 4일 AI 윤리지침을 업데이트하며 '추구하지 않을 기술(applications we will not pursue)' 목록을 삭제했다. 구글은 앞서 윤리지침에 무기 개발, 감시 기술, 인권 원칙 위반 등에 AI 기술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명시한 적이 있다. 

수정된 윤리지침에는 이러한 내용이 제거돼 있다. 이와 관련 구글은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AI 책임자는 블로그를 통해 "국가 안보를 지원하는 AI를 구축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사진=안두릴)
(사진=안두릴)

구글은 지난 2018년 미국 '프로젝트 메이븐' 계약을 둘러싸고 내부의 반발이 커지자 AI 무기 개발 금지를 선언한 바 있다. 앤드류 응 교수는 메이븐 프로젝트를 반대하는 시위에 대해 '당황스러워했다'라고 전했다. 

응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전장에 나가 우리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피를 흘리고 있다"라며 "그러면 미국 기업이 우리를 위해 싸우는 우리 군인들을 돕는 것을 거부할 수 있을까"라고 말했다. 

이처럼 응 교수는 AI의 군사적 활용에 대해 지지 입장을 밝혀왔다. 그는 "미국 AI 안전의 진짜 열쇠는 미국이 기술적으로 중국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AI 드론이 전장을 완전히 혁명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미국 국방부를 비롯한 전 세계 각국의 국방 부서는 AI를 사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AI포스트(AIPOST) 조형주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