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국 노스웨스턴대)
(사진=미국 노스웨스턴대)

가상현실(VR) 속 사물을 사용자가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가 개발됐다. VR 기기를 활용한 재활 치료와 게임 분야에 활용될 수 있어 관심을 받고 있다. 

존 로저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연구진은 최근 인간의 피부 감각을 모방한 새로운 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로저스 교수는 인간 피부에 달라붙는 고성능 전자회로로 생체정보를 얻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해 온 석학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웨어러블 기기는 진동, 스트레칭, 압력, 미끄러짐, 비틀림 등 다양한 감각을 생성한다. 감각을 결합하고, 빠르거나 느리게 작동하며 미묘하고 현실적인 촉각을 구현한다. 피부 변형의 메커니즘이 복잡하기 때문에 그간 촉각 기술은 시각, 청각 기술보다 빠르게 구현되지 못했다. 

(사진=미국 노스웨스턴대)
(사진=미국 노스웨스턴대)

이와 관련 에드워드 콜게이트 교수는 "피부는 찔리거나 늘어날 수 있다. 피부의 늘어짐은 손바닥 전체와 같이 표면에 복잡한 패턴으로 일어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렇게 연구진은 한 번에 여러 개의 기계 수용체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더 광범위한 촉각적 감각을 생성하는 기기를 개발했다. 

전기가 코일을 통해 흐르면 자기장이 생성되고, 이를 통해 자석을 움직이거나 비틀게 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가 배열로 결합되면 다양한 감각을 재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충전식 배터리로 구동되는 이 기기는 블루투스를 통해 VR 헤드셋과 스마트폰과 연결된다. 

(사진=미국 노스웨스턴대)
(사진=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진은 이 기기가 가상세계 속 몰입도를 향상시키고, 온라인 쇼핑을 하며 다양한 질감을 느끼게 해줄 것이라고 했다. 더불어 원격 의료 과정에서 필요한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시각 장애인이 주변을 탐색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존 로저스 교수는 "거의 모든 촉각 액추에이터는 실제로 피부를 찌르는 데 불과하다"라며 "피부는 훨씬 더 정교한 촉감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피부를 모든 방향으로 밀 수 있는 작은 액추에이터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완전히 프로그래밍 가능한 방식으로 복잡한 촉감을 제어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AI포스트(AIPOST) 유진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