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사진=스라이브 AI)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사진=스라이브 AI)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은 챗GPT 등 생성형 AI 서비스를 이용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경제 확산에 따른 국민의 인터넷 활용 변화를 담은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실태 조사는 전국 2만 5509가구 및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 22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인공지능 시대의 인터넷 이용실태, 디지털 경제의 변화 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AI 서비스를 경험한 국민 비율은 2021년 32.4%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해 2024년 60.3%로 나타났다. 자율주행 등 교통 분야에서 AI의 도움에 대한 만족도가 98.3%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필요도 및 향후 이용 의향은 가사 지원 로봇, 사물인터넷 가준 등 주거 편의 분야에서 가장 높다고 답했다.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해봤다는 응답 비율은 2023년 17.6%에서 2024년 33.3%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용 분야는 ▲정보 검색(81.9%) ▲문서 작성 보조(44.4%) ▲외국어 번역(40.0%) ▲창작 활동(15.2%) ▲코딩(6.3%)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AI 기능이 도입된 아마존 플랫폼 (사진=아마존)
AI 기능이 도입된 아마존 플랫폼 (사진=아마존)

정기 구독을 통해 OTT, 소프트웨어 등 콘텐츠를 이용하는 비율은 지난해 13.1%에서 올해 49.4%로 크게 늘었다. 10~30대가 이러한 소비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 증가폭을 보면 10대 43.6%p, 20대 40%p, 30대 37%p 순으로 나타났다.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와 같은 해외 직구 사이트가 한국 시장에 직접 진출하면서 인터넷 쇼핑 이용자의 해외직구 이용률은 전년 20%에서 올해 34.3%로 약 1.7배 증가했다. 특히 30대(47.2%)와 20대(43.5%)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 중이며, 두 연령층 모두 전년 대비 약 18~19%p 상승했다.

전국 가구의 인터넷 접속률은 99.97%로 전년과 동일했다. 만 3세 이상 가구원의 인터넷 이용률은 전년보다 0.5%p 증가한 94.5%로 집계됐다. 하루 1회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비율은 90.5%, 주 평균 이용 시간은 20.5시간으로 기록됐다. 

인터넷 이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97.5%),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88.9%)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97.7%가 쪽지 창(인스턴트 메신저)을 이용하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쪽지창(메신저)은 카카오톡(98.0%)인 것으로 조사됐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인공지능은 더 이상 미래 기술이 아닌, 국민 생활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며 “AI의 윤리적 활용과 국민 이용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I포스트(AIPOST) 진광성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