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마이크로소프트)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MS)가 2023년 이후 최대 규모인 약 9000명 규모의 구조조정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약 7000명의 인력을 정리해고한지 두 달 만이다. 

2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MS는 이날 성명을 통해 전체 직원의 4% 수준인 약 9000명을 감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약 7000명을 감축한 데 이어 두 달 간 1만 5000명에 달하는 직원들을 구조조정하는 셈이다. 

이는 2023년 1만 명 감원 이래 최대 규모다. MS는 성명에서 "역동적인 시장 환경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조직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라며 "관리자 계층을 줄이고, 신기술을 통해 직원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사진=마이크로소프트)

이번 구조조정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업무 효율을 높이려는 MS 전략의 연장선상으로 평가된다. 이번 감원은 영업 부서와 개발팀 전반에 걸쳐 이뤄지고 있다고 전해졌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MS의 전체 직원은 22만 8000명이며, 이 가운데 영업 및 마케팅 부문 인력은 4만 5000명에 달한다. 지난 5월 구조조정에서는 제품 및 엔지니어링 부문 직원들이 영향을 받았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최근 "코드의 20~30%가 AI에 의해 작성되고 있다"라며 AI 인프라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흐름은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중이다.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은 올해 초 영업·마케팅·지원 부서 등 비엔지니어링 부문 직원들을 대규모 감원했고, 최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의 대규모 감축을 예고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사진=마이크로소프트)

영국의 최대 이동통신 기업 BT그룹의 최고경영자(CEO) 앨리슨 커크비는 AI의 발전으로 인해 인력 감축 규모가 더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앨리슨 커크비 CEO는 "2030년까지 인력을 감원하는 계획은 AI의 잠재력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AI 발전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어 인력 감축 규모도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앤트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AI가 5년 내 초급 사무직의 절반을 없애고, 미국 내 실업률을 최대 2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예측을 내놓았다.

AI포스트(AIPOST) 유진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