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인사, 변화보다는 경영 안정 방점
미래 먹거리 책임 질 미래사업기획단 신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취임 후 두 번째 사장단 인사에서 한종희 DX(디바이스경험) 부문장(부회장)과 경계현 DS(반도체) 부문장(사장)이 이끄는 '투톱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글로벌 경기침체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조직 안정을 도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와 더불어 신사업 발굴을 위한 '미래사업기획단'을 신설해 삼성의 미래 먹거리 발굴에도 힘을 준다는 포석이다.
삼성전자는 27일 사장 승진 2명, 위촉업무 변경 3명 등 총 5명 규모의 '2024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발표했다.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과 경계현 대표이사 사장이 이끄는 '투톱 체제'를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지난해 인사에서 사장 승진만 7명이었던 점을 비추어볼 때 변화보다는 내실을 다지는 쪽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한 부회장과 경 사장이 맡은 업무는 소폭 조정된다. 한 부회장이 겸직하던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떼어내고 DX부문장, 생활가전사업부장 역할만 하기로 했고,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자리는 용석우 DX부문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업부장(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해 맡기로 했다. 삼성전자 첫 1970년대생 사장이다.
반도체 시장 회복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는 경계현 사장은 DS부문장외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원장도 맡게 됐다. 반도체 수장에게 R&D 조직을 맡긴 것은 삼성전자가 신기술 R&D 영역을 강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 대외협력을 담당하던 김원경 부사장도 사장으로 승진했다. 1967년생인 김 사장은 외교통상부 출신의 글로벌 대외협력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다. 풍부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삼성의 글로벌 협력관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서 삼성전자는 부회장급 조직인 미래사업기획단을 신설했다. 미래사업기획단에는 전영현 삼성SDI 이사회 의장(부회장)이 선임됐다. 전영현 의장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을 글로벌 최고수준으로 성장시킨 주역이다. 조직을 이끌며 삼성의 10년후 패러다임을 전환할 미래먹거리 발굴을 주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2인 대표이사 체제를 유지해 경영안정을 도모하는 동시에 핵심 사업의 경쟁력 강화, 세상에 없는 기술 개발 등 지속성장가능한 기반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AI포스트(AIPOST) 유진 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