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공동창업자인 일리야 수츠케버. (사진=AI포스트 DB)
오픈AI 공동창업자인 일리야 수츠케버. (사진=AI포스트 DB)

오픈AI 공동창업자이자 스타트업 SSI(Safe Superintelligence)의 창립자인 일리야 수츠케버가 사전 훈련 기반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시대가 끝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추론 중심의 AI가 미래를 열 것이며, 추론 결과는 예측 불가능할 것이라고도 했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수츠케버는 전날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신경정보처리시스템 콘퍼런스 강연에서 "생성형 AI 모델 사전 훈련은 여지 없이 끝난다"라고 밝혔다. 

AI 모델 학습에 활용되는 인터넷 데이터는 석유 등 화석연료처럼 유한한 자원이라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수츠케버는 "컴퓨팅 성능은 향상되고 있지만 데이터를 더 이상 확장할 방법은 없다"라며 "왜냐하면 우리가 가진 인터넷은 하나뿐이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일리야 수츠케버(가운데)와 오픈AI 공동 창업자들. (사진=일리야 수츠케버 엑스)
일리야 수츠케버(가운데)와 오픈AI 공동 창업자들. (사진=일리야 수츠케버 엑스)

이어 수츠케버는 AI 개발이 '에이전트' 중심으로 전환될 것이며, AI가 자의식을 갖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AI는 인간이 예측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AI가 더 깊은 추론을 할수록 그 결과는 예측할 수 없게 된다"라고 말했다. 

AI 추론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결국 데이터 부족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수츠케버는 보고 있다. 제한된 데이터로도 높은 수준의 작업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는 게 핵심이다. 

일리야 수츠케버. (사진=엔비디아)
일리야 수츠케버. (사진=엔비디아)

한편 수츠케버는 AI 대부로 불리는 제프리 힌튼 교수의 수제자로 잘 알려져 있다. 수츠케버는 이후 2015년 알트만 등과 함께 오픈AI를 설립했다. 그러나 알트만의 사업 방향과 AI 윤리 등 문제로 내부 갈등이 빚어졌다. 이에 수츠케버가 지난해 11월 알트만 CEO 해임을 주도했다.

그러나 알트만은 직원들과 투자자들의 압박 등의 이유로 닷새 만에 CEO로 복귀했고, 알트만 축출을 주도했던 이사회 멤버들과 AI 안전 관련 직원들은 대부분 퇴사했다. 수츠케버는 오픈AI를 떠나 SSI를 창업했다. 그는 3개월 만에 1조 33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관련 기사] 학습 데이터 고갈 코앞…AI가 만든 데이터를 AI가 학습한다면?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