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르쿤. (사진=NYU Tandon School of Engineering)
얀 르쿤. (사진=NYU Tandon School of Engineering)

한국과 미국의 AI(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를 위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이 미국 뉴욕 한복판에 문을 열었다. 한·미 과학기술동맹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공동 연구소장으로는 글로벌 AI 4대 석학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얀 르쿤 뉴욕대 교수가 내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24일 미국 뉴욕에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의 성공적 출범을 축하하는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과기정통부 장관, 뉴욕대 총장 등 국내·외 인사들이 참여했다.

뉴욕 브루클린의 뉴욕 메트로테크센터에 자리 잡은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은 한국 2028년까지 연구개발 예산 450억원을 투입하고 뉴욕대가 연구 인력·인프라 등 3천150만달러(약 420억원) 상당을 지원할 계획으로 설립됐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개소식에서 "한국과 미국의 AI 협력·혁신에서 새 전환점을 맞이하는 중요한 순간"이라며 미국과 AI 연구에서 협력 관계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개소식에는 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 앤드류 킴볼 뉴욕시 경제개발공사 회장 등 미국 측 참석자들도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개소와 한·미 간 긴밀한 AI 파트너십 구축 등을 축하했다.

(사진=뉴욕대학교)
(사진=뉴욕대학교)

양국 연구진은 원천 AI 기술 개발, 신뢰할 수 있는 AI, 의료·헬스케어 AI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소장은 AI 분야 석학으로 꼽히는 얀 르쿤 뉴욕대 교수와 같은 대학의 조경현 교수가 공동으로 맡는다

이날 얀 르쿤 뉴욕대 교수는 'AI가 나아갈 방향과 한·미 AI 협력의 중요성'을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했다. 이어 한욱신 포스텍(포항공대) 교수가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을 통한 한·미 AI 협력방향'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맡았다.

유상임 장관은 AI 프론티어 연구진들과 AI의 미래, AI 연구 협력방향 등에 관한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양국은 AI 프론티어랩을 세계적 AI 국제공동연구 플랫폼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은 "학문적 우수성에 기반한 이 글로벌 파트너십이 인공지능 분야에 변혁적 기여를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라고 밝혔다. 

AI포스트(AIPOST) 조형주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