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 도구로 제작한 이미지. (사진=미드저니)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 도구로 제작한 이미지. (사진=미드저니)

빅테크들이 사용자의 PC를 스스로 작동하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앞다퉈 개발하고 있다. 며칠 전 차세대 AI 에이전트를 출시한 앤트로픽에 이어 구글도 새로운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정보기술(IT)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3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AI가 개인용컴퓨터(PC) 사용자로부터 웹브라우저를 넘겨받아 각종 작업을 대신해주는 '컴퓨터 사용 에이전트'(CUA)를 구글이 개발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서비스는 '프로젝트 자비스'로 불린다. 구글이 이르면 12월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인 제미나이 차세대 모델을 공개하면서 기능을 탑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비스는 '조사 수집', '제품 구매', '항공편 예약' 등을 포함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한다. 

자비스는 웹 브라우저에서만 작동한다고 전해졌다. 일상적인 웹 기반 작업을 자동화하도록 돕는 것이 목표다. 이에 구글은 소수 테스터들에게만 자비스를 우선 공개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버그를 먼저 찾아 수정한 뒤 일반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려는 전략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 도구로 제작한 이미지. (사진=미드저니)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 도구로 제작한 이미지. (사진=미드저니)

이에 앞서 클로드 개발사 앤트로픽은 필요한 작업을 결정해 수행하는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출시한 바 있다. 클로드의 AI 에이전트는 모니터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작동하는 패턴을 확인하고, 커서를 움직이고, 버튼을 클릭하고, 텍스트를 스스로 입력할 수 있다고 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맞춤형 AI 비서 개발 플랫폼인 '코파일럿 스튜디오'를 출시하는 등 AI 에이전트 개발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자연어만으로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어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AI포스트(AIPOST) 유진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