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키, AI 어시스턴트 개발

AI 헬스케어 기업 수키가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을 통해 AI 비서를 보급하는 중이다. (사진=수키)
AI 헬스케어 기업 수키가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을 통해 AI 비서를 보급하는 중이다. (사진=수키)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스타트업 수키(Suki)가 자체 개발한 AI 조수를 대중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구글 클라우드와 손을 잡았다. 수키는 개발자 플랫폼 버텍스 AI를 활용해 '환자 요약 및 Q&A 기능'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수키의 AI 어시스턴트는 환자의 의료 기록 요약을 제공하고, 임상 관련 질문에 답하며, 환자 차트 데이터 검색 및 기록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미국 내 임상의들은 환자 치료보다 행정 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한다. 수키는 환자 데이터를 쉽게 검색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간소화한다면 의사들의 과중한 행정업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수키의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인 푸닛 소니. (사진=수키)
수키의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인 푸닛 소니. (사진=수키)

이를 위해 수키는 구글 클라우드와 손을 잡았고, 방대한 양의 정보를 요약하고 자연어로 질문한 내용을 기반으로 의학적 답변을 제공하는 기능을 출시할 수 있게 됐다. 

구체적으로 수키의 AI 어시스턴트는 임상의가 환자 데이터와 임상 정보를 대화형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당뇨병을 앓고 있는 이 환자는 어떤 약을 복용하고 있나요?, "가족력이 있는 환자가 대장암 검진을 시작해야 하는데, 고려해야 될 사항은?" 등의 질문에 답할 수 있다. 

수키의 AI 기능은 환자 관련 데이터를 가져오고 검증된 리소스에서 의료 참조 정보를 기반으로 답변을 제공하기 때문에 임상의가 의사 결정 과정에서 활용하기에도 무리가 없다. 

(사진=수키)
(사진=수키)

환자 요약 기능은 최근 환자 진료에 대한 간결한 요약을 제공하므로 임상의는 다가올 진료에 쉽게 대비하고 보다 개인화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수키의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인 푸닛 소니는 "수키는 다양한 동급 최고의 AI 모델과 협력해 임상의의 행정 워크플로를 혁신하고, 임상의의 부담을 덜어주어 환자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라고 밝혔다. 

수키의 기술은 미국 내 350개 건강 시스템과 진료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수키는 올해 고객을 3배로 늘렸다고 발표했다.

AI포스트(AIPOST) 진광성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