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 동안 아이를 가질 수 없었던 미국의 한 부부가 인공지능(AI) 기반 'STAR 기법' 덕에 임신에 성공, 오는 12월 출산 예정이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 따르면 미국의 한 부부는 지난 18년간 아이를 갖기 위해 전 세계 난임 치료 센터를 방문해 체외수정(IVF; 시험관 아기) 시술을 반복해서 받았다. 그러나 남편의 정액에서 정자가 검출되지 않아 IVF 시도가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다.
일반적인 정액 샘플에는 수억 개의 정자가 포함돼 있다. 무정자증으로 분류되는 남성은 현미경으로 몇 시간 동안 훑어봐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세포가 매우 적다고 알려져 있다. 무정자증은 남성 중 약 1%에게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18년간 세계 각국의 의료진은 남편의 정자를 수 차례 확인했지만 정자를 찾아내지 못했다. 이에 부부는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난임 치료센터를 찾았다. 부부는 연구진이 개발한 AI 기반 기술 'STAR 기법'으로 난임 치료를 받았다.
STAR 팀은 미세 제조, 머신 러닝, 로봇 공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 과학자, 임상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고출력 영상 기술을 사용해 샘플 전체를 스캔해 1시간도 안 되는 시간에 800만 장이 넘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AI를 사용해 정자를 식별한다.
시스템은 정자로 추정되는 세포를 인식하면, 손상 없이 샘플의 일부를 분리해낸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AI는 남편의 정액에서 육안으로 찾기 어려운 정자 3개를 발견했다고 한다. 이를 아내의 난자에 주입했고, 마침내 수정이 이뤄졌다.
출산 예정일은 올해 12월이다. 아내는 한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정말 믿기지 않는다"라며 "나이가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임신 가능성이 있는 시기에 난자 수 측면에서 한계에 다다르고 있었다. 이제 초음파에서 아기를 보게 되니 꿈만 같다"라고 했다.
STAR 기법을 개발한 제브 윌리엄스 박사는 "우리는 우주에서 생명체를 찾는 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기술을 사용해 바로 이 지구에서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고 있다"라며 "이제 환자들이 꿈꿔왔던 가족을 꾸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은 정말 경이로운 일"이라고 말했다.
현재 STAR 기법은 컬럼비아 대학교 난임센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조만간 타 기관에도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