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 도구로 제작한 이미지. (사진=AI포스트 DB)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 도구로 제작한 이미지. (사진=AI포스트 DB)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가 구글의 브라우저 크롬을 345억 달러(약 47조 8000억원)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자체 AI 기반 브라우저 ‘코멧(Comet)’까지 보유한 퍼플렉시티가 크롬을 노리는 이유는 뭘까. 

13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퍼플렉시티는 구글에 서한을 보내 345억 달러에 크롬을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스타트업이 써낸 것 치고는 인수 금액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반응이 나온다. 퍼플렉시티가 지난달 평가받은 기업가치는 180억 달러다. 

크롬 인수에 제안한 금액은 퍼플렉시티의 몸값의 약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퍼플렉시티는 대형 벤처캐피털을 비롯, 여러 투자자가 거래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퍼플렉시티는 AI 기반 검색 엔진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지난달 AI 기반 브라우저 코멧을 출시한 바 있다. 

(사진=퍼플렉시티)
(사진=퍼플렉시티)

퍼플렉시티가 '크롬 인수 의향'을 밝힌 이유는 뭘까. 크롬이 브라우저 시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압도적인 영향력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더불어 일반 사용자들의 일상에 파고들어 자체적인 AI 서비스를 확산시킬 수 있고, 향후 광고 시장도 장악할 수 있어 수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한편 크롬의 불법 독점 판결을 내린 워싱턴 D.C. 연방법원은 온라인 검색 시장 경쟁 회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법무부는 방안 중 하나로 구글 크롬 매각을 제안한 바 있다. 

앞서 오픈AI도 구글 크롬 매각전에 참전한 바 있다. 미 법원이 구글 크롬에 대해 불법적 독점 판단을 내리자 오픈AI는 '크롬' 인수 의사를 내비쳤다. 구글이 항소하며 열린 반독점 재판에 참석한 닉 털리 오픈AI 총괄은 크롬 강제 매각이 현실화된다면 인수할 의향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 물론 많은 기업이 인수에 관심을 보일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어 닉 털리 총괄은 "챗GPT가 크롬과 통합된다면 놀라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라며 "우리는 AI 중심의 검색 경험이 어떤 것인지 사용자들에게 소개할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구글은 크롬 매각에 반대한다며 선을 그었고, 오픈AI와 별도의 협상이 진행되지 않았다. 

AI포스트(AIPOST) 마주영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