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AI 데이터센터. (사진=구글)
구글의 AI 데이터센터. (사진=구글)

구글이 우주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띄워 태양광으로 에너지를 수급한다는 일명 ‘프로젝트 선캐처(Project Suncatcher)’ 구상을 내놨다. 

구글이 발표한 '프로젝트 선캐처'는 태양광 패널과 AI 전용 반도체를 탑재한 소형 위성을 우주로 띄우겠다는 게 핵심이다. 구글은 "태양은 궁극적인 에너지원으로, 인류 전체 전력 생산량의 100조 배 넘는 에너지를 방출한다"라고 밝혔다. 

AI 수요가 폭증하며 갈수록 늘어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을 태양이라는 무한한 에너지 원천을 통해 충당하겠다는 것이다. 위성에 탑재된 태양광 패널은 지구보다 최대 8배 더 생산적이며, 거의 연속적으로 전력을 생산해 배터리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구글은 우주가 AI 컴퓨팅을 확장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가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구글이 제시한 우주 데이터센터는 수십 기의 소형 위성으로 구성된다. 소형 위성 여러 대에는 AI 연산을 위해 설계된 '텐서 프로세싱 유닛(TPU)'가 탑재된다. 

위성 간 '자유공간 광통신'이 연결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구글은 반경 1km 내에서 81기의 위성이 편대 비행을 하며, 통신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구글이 자체 개발한 ‘트릴리움 TPU(Trillium TPU)’는 5년 임무에 해당하는 우주 방사선 환경에서도 손상 없이 작동했다. 

(사진=구글)
(사진=구글)

구글은 2027년 초 두 기의 시범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구글 측은 "우주 환경에 더욱 자연스럽게 적합한 새로운 컴퓨팅 아키텍처와 태양광 수집, 컴퓨팅, 열 관리가 긴밀하게 통합된 기계 설계를 결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AI 인프라의 핵심은 전력, 냉각수, 부지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기업들이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중국에선 세계 최초로 풍력 에너지를 활용한 수중 데이터 데이터센터가 구축됐다. 데이터센터는 95% 이상이 친환경 전력으로 구동되도록 설계됐다. 

당국은 이를 통해 에너지 소비 22.8%를 줄이고, 물 사용량과 토지 사용을 각각 100%와 90% 이상 줄였다고 밝혔다. 기존 데이터센터와 달리 이번에 구축된 데이터센터는 해상 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데이터 인프라가 결합된 구조로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냉각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수중 데이터센터의 가장 큰 장점이다.

프로젝트 계약자 중 하나인 선에너지그룹의 황디난 회장은 "동중국해가 상하이에 독특한 해상 풍력 발전 자원을 제공한다"라며 "도시 경제와 주민에게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AI포스트(AIPOST) 유진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