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섰다. 인류는 디지털 초인공지능(artificial superintelligence·ASI)을 개발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라고 10일(현지시간) 밝혔다.
알트만 CEO는 이날 개인 블로그에 올린 ‘부드러운 특이점(The Gentle Singularity)’라는 글에서 "오픈AI는 초지능 연구 기업"이라며 AI 특이점이 시작됐다고 선언했다. 초인공지능 또는 초지능 인공지능(AI)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능가하는 AI를 의미한다.
알트만 CEO는 "챗GPT는 이미 지금까지 존재했던 어떤 인간보다 강력하다. 수억 명의 사람들이 매일 점점 더 중요해지는 업무에 챗GPT를 활용하고 있다"라며 "2026년에는 새로운 인사이트를 스스로 찾아낼 수 있는 시스템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2027년에는 실제 세계에서 작업할 수 있는 로봇이 등장할지도 모른다”라고 내다봤다.
인공지능 기술 발전으로 2030년대는 인류 역사상 어떤 시대와 비교해 극적으로 다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알트만 CEO는 "한 사람이 2020년보다 2030년에 훨씬 더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변화이며, 많은 사람들이 그로부터 어떻게 이익을 얻을 수 있을지 깨닫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과학 연구 과정에서 AI가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고도 했다. 알트만 CEO는 "과학자들은 이미 AI 이전보다 생산성이 두세 배 향상됐다고 말한다. 10년치 연구를 1년, 한 달 만에 할 수 있다면 발전 속도는 분명 크게 달라질 것이다"라고 했다.
이어 그는 데이터센터 자동화가 진행됨에 따라 AI 비용은 결국 전기료 수준으로 수렴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알트만 CEO는 “많은 사람들이 챗GPT의 에너지 사용량을 궁금해 한다. 평균적으로 쿼리(질문) 당 0.34와트시(Wh)를 사용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는 오븐이 1초 남짓한 시간에 사용하는 고효율 전구가 몇 분 동안 사용하는 에너지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또한 쿼리 당 약 0.000085갤런의 냉각수(물)을 사용한다. 이는 대략 티스푼 15분의 1 수준의 양이다"라고 설명했다.
알트만 CEO는 초지능 AI를 값싸게 구축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초지능을 저렴하고 널리 보급하며, 특정 개인이나 기업, 국가에게 지나치게 집중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라며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지만, 우리 앞길의 대부분은 이미 밝아졌다"라고 강조했다.
AI포스트(AIPOST) 진광성 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