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사진=Keir Starmer X)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사진=Keir Starmer X)

영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주도권을 거머쥐기 위해 국가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기업을 육성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12일(현지시간) 미국 CNBC에 따르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13일 영국 브리스톨을 방문해 강력한 AI 모델 개발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대한다는 내용을 담은 계획을 발표한다. 

영국 정부는 2030년까지 공공 부문의 컴퓨팅 용량을 20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영국 정부는 컴퓨팅 인프라 강화를 위한 이니셔티브인 ‘AI 리서치 리소스’에 대한 접근도 개방할 계획이다.

더불어 영국 정부는 새로운 데이터센터 설립을 허용하기 위해 계획 허가 규정을 완화하는 'AI 성장 구역'을 설정하기로 했다. 또 에너지와 AI 분야의 업계 리더로 구성된 'AI 에너지 협의회'를 설립, 원자력 등 저탄소 에너지원의 역할을 모색할 예정이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사진=Keir Starmer X)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사진=Keir Starmer X)

스타머 정부가 제안한 마지막 주요 이니셔티브는 오픈AI 등 미국 내 기술 기업과 비슷한 규모의 'AI 기업'을 육성하는 것이다. 영국 정부는 AI 성장 구역과 데이터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국가의 AI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영국 내 스타트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자 국가가 직접 기업 지원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기술 리더들은 정부의 AI 지원 방안에 대해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자흐라 바롤로루미 세일즈포스 영국 사장은 정부의 지원 방안을 놓고 "선진적인 전략"이라며 "AI에 대한 대담한 비전과 투명성, 안전 및 협업에 대한 강조에 고무됐다"라고 했다. 

영국 시스코의 친탄 파텔 최고 기술 책임자는 "영국이 AI 강국이자 AI 투자의 주요 목적지가 되겠다는 야망을 달성하려면 명확하게 정의된 로드맵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AI포스트(AIPOST) 진광성 기자 aipost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