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줄곧 강조해 온 인공지능(AI)과 로봇을 결합시킨 개념인 '피지컬 AI' 시장에 새로운 주자가 뛰어들었다.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인 '허깅페이스(Hugging Face)'가 그 주인공이다.
허깅페이스가 최근 공식 블로그를 통해 프랑스 인공지능 로봇 스타트업인 ‘폴렌로보틱스(Pollen Robotics)’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폴렌로보틱스는 지난 9년간 로봇을 개발해 온 기업이다. 주력 제품은 '리치(Reachy)2'라는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구체적인 인수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인수는 허깅페이스가 피지컬 AI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첫 행보로 평가된다. 폴렌로보틱스의 주력 제품 리치2 로봇은 코넬대, 카네기 멜론대 등 연구실에 도입돼 있다.
피지컬 AI 시장 진출을 위해 허깅페이스는 테슬라 옵티머스 로봇 연구원 출신인 레미 케이든을 영입한 바 있다. 특히 허깅페이스는 1년 전 오픈소스 로봇 개발 도구인 '르로봇(LeRobot)'을 출시한 바 있다. 더로봇스튜디오와 100달러짜리 저렴한 로봇 팔 개발에 협력하는 등 시장 내 입지를 다져왔다.
허깅페이스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과학책임자인 토마스 울프는 "허깅 페이스의 AI 모델 저장소를 정의한 오픈 소스 접근 방식이 로봇 전략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인수로 폴렌로보틱스의 약 20명의 직원이 허깅페이스에 합류한다. 여기에는 공동 창립자인 마티유 라페르와 피에르 루아네도 포함된다. 리치2의 경우 현재 연구 개발 단계이지만, 허깅페이스는 비용을 대폭 절감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울프 창립자는 궁극적으로 하드웨어 설계를 완전히 오픈소스화하고 사용자가 직접 로봇 부품을 3D 프린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선 이번 인수가 피지컬 AI 생태계를 한층 확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허깅 페이스는 현재까지 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세일즈포스, 세쿼이아, 코아투, 럭스 캐피털, 애디션 등 주요 투자자들로부터 3억 9500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했다.
AI포스트(AIPOST) 유형동 수석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