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엔지니어, 수학자 등 전문직에게 해당되는 'H-1B' 비자 수수료를 1인당 연간 10만 달러(약 1억 4000만원)로 100배 인상하자, 빅테크들에 비상이 걸렸다.
국내외 논란이 확산되자 트럼프 행정부는 전날 서명한 포고가 신규 비자 신청자들에게만 적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H-1B 비자는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 전문 직종에 적용되는 비자다. 그간 빅테크들이 세계 최고의 인재들을 유치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해 왔다.
다만 추첨을 통한 연간 발급 건수가 8만 5000건으로 제한돼 있으며, 해당 비자로 입국한 전문직 인력들은 기본 3년간 체류할 수 있다. 영주권도 신청할 수 있다. 전문직 비자 수수료를 올리겠다는 미국 정부 발표에 빅테크들은 해외에 체류 중인 H-1B 비자 소지 직원들에게 미국으로 돌아오라고 강력하게 권고했다.
더 버지 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19일(현지시간) 사내 이메일을 통해 H-1B 비자 소유 직원들에게 "해외에 체류 중인 H-1B, H-4비자 보유자의 경우 일요일까지 미국으로 돌아와야 한다"라며 "재입국을 피하기 위해서는 미국에 머무르는 게 중요하다"라고 권고했다.
구글도 H-1B 비자와 관련 별도의 지침을 전달했다. 구글 측은 "재입국 시 10만 달러의 의무 납부가 요구되며 이로 인해 미국 재입국이 상당히 지연되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라며 "현 상황을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아마존 측도 "H-1B 비자 소지자이면서 국외에 있는 경우 가능하면 빠르게 미국으로 귀국하길 바란다. 촉박한 일정이지만 빠른 시일 내에 귀국하는 게 좋다"라며 "미국에 있다면, 여행을 계획하고 있더라도 그대로 머무르길 바란다"라고 했다. 아마존 측은 H-1B, H-4 비자를 소유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일요일까지 귀국하기 어려운 경우 추가 지침이 제공될 때까지 미국 입국을 시도하지 않는 것을 권한다라고 덧붙였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해 H-1B 비자와 관련해 “스페이스X, 테슬라를 비롯 미국을 강하게 만든 수백 개의 다른 회사를 세운 수많은 핵심 인력이 미국에 있는 것은 H1B 덕분”이라고 자신의 견해를 밝힌 바 있다.
미국 이민국에 따르면 H-1B 소지자가 가장 많은 기업은 아마존(약 1만 44명)이다. MS(5189명), 메타(5123명), 구글(4181명) 등 기업들도 글로벌 인재들을 대거 채용하고 있는 기업들이다.
한편 미국 정부가 내놓은 발표에 따르면 H-1B 비자를 소지한 직원이 미국에 재입국하는 경우 수수료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정책 불확실성 때문에 빅테크들이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다.
AI포스트(AIPOST) 마주영 기자 aipostkore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