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슈미트 구글 전 최고경영자. (사진=올인 팟캐스트)
에릭 슈미트 구글 전 최고경영자. (사진=올인 팟캐스트)

에릭 슈미트 구글 전 최고경영자(CEO)는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에서 미국이 인공일반지능(AGI) 실현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슈미트 전 CEO는 최근 올인 팟캐스트(The All-In Podcast)에 출연해 "미국과 중국이 AI 분야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경쟁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직접 중국을 가보니 그들은 다른 전략을 쓰고 있었다"라며 "그들은 'AGI 전략'을 추구하기보다 AI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었다"라고 했다. 

그는 "소비자 앱, 로봇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AI를 적용하고 있다. 상하이 로봇 회사들을 둘러보니, 전기차 분야에서 성공했던 것처럼 로봇 분야에서도 엄청난 성과를 내려고 노력 중인 것을 알았다"라며 "그들의 근면함은 정말 대단하다"라고 했다. 

(사진=올인 팟캐스트)
(사진=올인 팟캐스트)

미국이 AGI 실현을 위해 속도를 내는 동안 산업에 특화된 AI 모델 응용 분야에서 중국에 뒤처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슈미트 전 CEO는 "중국은 오픈소스 AI 모델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은 주로 폐쇄형 모델에 집중하는 반면 중국은 개방형 모델을 적극 활용 중이다.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중국 모델을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지적했다. 

슈미트 전 CEO는 6~7년 내 AGI가 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슈미트 전 CEO는 "많은 기업인들의 예측과 달리 저는 6~7년 안에 AGI 실현이 가능하다고 본다. 특정 분야의 전문가 수준의 지능이 과연 일반지능일까. 아직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라며 "위대한 천재들은 한 분야를 완벽히 이해하고, 아이디어를 다른 영역에 적용한다. 이러한 AI가 등장하면 세상은 달라진다"라고 말했다.  

또 그는 미래 전쟁에서 인공지능, 드론 등 기술이 더욱 중요해 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슈미트 전 CEO는 "현재 존재하는 군사 인프라를 대부분 무용지물로 만들 것이다. 2kg의 폭탄을 탑재한 드론 한 대가 3000만 달러짜리 탱크를 파괴할 수 있다"라며 "각 국가들이 AI 전략을 사용하면, 어느 쪽도 전투 계획을 예측할 수 없게 된다"라고 주장했다.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 (사진=AI포스트 DB)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 (사진=AI포스트 DB)

이어 그는 "오늘날 군사 지휘부는 무기 수를 세면서 전략을 짠다. AI 시대에는 상대방의 계획을 알 수 없다. 저는 이것이 전쟁이라는 인류의 가장 끔찍한 행위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결국 인간이 선을 넘어야 할 순간이 온다. 드론으로 적의 전력을 무너뜨린 후 인간이 나서야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출산율 저하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슈미트 전 CEO는 "서구의 출산율 감소는 심각하다. 아시아는 더 심각하다.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0.78명으로 감소했다"라면서 "저는 이민 정책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사람과 기업에 투자하고, 필요한 인프라에 투자하면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AI포스트(AIPOST) 마주영 기자 aipostkorea@naver.com